사회 전국

창원시, 인구감소 현상 '일자리'로 해결 나서

문화콘텐츠, 연구, 관리 등 미래 50년 준비 신산업 중점 육성

김삼수(오른쪽 두 번째) 창원시 인구정책담당관이 28일 창원시청 프레스센터에서 제2차 인구정책 기본계획에 대해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창원시김삼수(오른쪽 두 번째) 창원시 인구정책담당관이 28일 창원시청 프레스센터에서 제2차 인구정책 기본계획에 대해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창원시




경남 창원시가 인구감소 문제 해결책을 일자리에서 찾는다.

시는 28일 시청 프레스센터에서 제2차 인구정책 기본계획(2023~2027)을 수립·시행한다고 밝혔다. 시는 낮은 임금과 청년 수요 일자리 부족, 산업 다변화를 위한 인적역량 형성체계 부족, 사회적 돌봄체계 불충분 등이 인구감소 주요 원인이라고 밝혔다.



이는 성장거점형 산업도시의 경직된 구조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전통산업을 기반으로 한 신산업 창출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시는 ‘사람과 기업이 모여드는 혁신과 활력의 도시 창원’을 비전으로 제시했다. ‘인구∙기업 유입도시 실현, 100만 도시 유지’를 목표로 △혁신산업 일자리 창출 △청년 세대 미래보장 △사회적 돌봄체계 강화 △인구변화 대응 체계 구축 등 4대 전략과 67개 추진과제를 시행할 계획이다.

또 기본계획이 아동과 여성, 고령 친화도시 추진과 청년보장제, 지구단위계획 재정비, 창원산단 미래 신산업 공간 재편 등 도시구조 재편을 통해 한층 더 높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했다.

시는 혁신산업 고부가 일자리 창출과 관련해 “청년들이 선호하는 일자리인 문화콘텐츠, 연구, 관리 등 고부가가치 산업 일자리를 미래 50년 준비 신산업에서 찾고자 한다”면서 “미래 50년 신산업을 보면 드론, 미래항공 모빌리티, 첨단 의료기기 및 의료기기 부품제조 산업, 지역 주력 산업인 원전·방위산업”이라고 말했다.

더불어 드론 실증도시 구축 사업을 통해 △스마트 물류 배송 △통합 재난안전 관리 △기후관리까지 기업 지원을 강화하고, 미래항공 모빌리티 산업 육성을 위해 지역 기업의 관련 부품산업 진출과 산업 생태계 조성을 지원할 계획이다. 나아가 제조산업을 활용해 첨단 의료기기 및 의료기기 부품 제조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AI·빅데이터 기반 의료·바이오 첨단기기 연구제조센터를 2027년까지 구축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창원=박종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