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포스코퓨처엠, 양극재 매출 비중 70% 돌파…내년엔 '국산' 리튬으로 북미 진격

3분기 2차전지 소재 매출 2.5조

2만여톤 규모 광양 생산공장 준공

내년 하반기까지 4.3만톤 체제 갖춰

소재 탈중국 가속…IRA 수혜 기대

전남 광양에 위치한 포스코퓨처엠 양극재 공장. 사진 제공=포스코퓨처엠전남 광양에 위치한 포스코퓨처엠 양극재 공장. 사진 제공=포스코퓨처엠




포스코퓨처엠(003670)의 양·음극재 수출액이 지난해보다 1조 원 이상 증가하며 전체 매출에서 2차전지 소재 비중이 70%를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내년부터는 현재 중국에서 전량 조달하고 있는 수산화리튬을 국산화해 글로벌 시장 공략을 더욱 확대할 방침이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누적 포스코퓨처엠의 2차전지 소재(양·음극재) 수출액은 약 2조 4900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조 3800억 원 대비 1조 원 이상 급증했다.

수출이 증가하면서 포스코퓨처엠 전체 매출에서 2차전지 소재가 차지하는 비중도 커졌다. 올해 3분기까지 포스코퓨처엠이 올린 전체 매출 3조 6100억 원 가운데 2차전지 소재 매출은 2조 5800억 원으로 70%를 넘어섰다. 2차전지 소재 매출 비중은 2020년 34.1%에서 지난해 50%를 돌파한 후 매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올해 수출이 급격히 늘어난 것은 북미와 유럽에서 고부가 제품인 하이니켈 양극재의 판매가 늘었기 때문이다. LG에너지솔루션과 제너럴모터스(GM)의 합작사인 얼티엄셀즈에만 올해부터 13조 원 규모의 하이니켈 양극재를 공급하기 시작했다.





포스코퓨처엠 관계자는 “양극재 전체 판매량은 지난해보다 50% 가까이 늘었다”며 “리튬과 니켈 등 원료 가격 하락으로 양극재 판가가 떨어졌지만 하이니켈 양극재와 같은 고가 제품의 비중이 커진 덕분에 높은 수출액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내년부터는 중국에서 전량 수입하던 수산화리튬을 국내에서 조달받으면서 북미 수출량도 더욱 늘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포스코홀딩스가 호주 필바라사와 세운 포스코필바라리튬솔루션은 최근 전남 광양에 2만여 톤 규모의 1단계 생산 공장을 준공했다.

배터리 업계의 한 관계자는 “포스코 광양 리튬 공장은 내년 하반기까지 4만 3000톤 규모의 생산 체제를 갖출 예정”이라며 “이는 포스코퓨처엠이 필요한 물량의 40~50%까지 충당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특히 필바라리튬솔루션이 생산한 리튬은 호주에서 원료를 확보해 한국에서 가공하기 때문에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수혜도 받을 수 있다. 포스코퓨처엠은 비중국산 원료를 바탕으로 2차전지 소재의 북미 수출을 더욱 확대할 방침이다.

포스코퓨처엠은 리튬뿐만 아니라 비중국산 원료 확보를 위해 2차전지 소재 밸류체인 공급망도 강화하고 있다. 지난달에는 OCI홀딩스와 합작한 피앤오케미칼을 통해 국내 첫 배터리 음극재 코팅용 피치 생산 공장을 준공했다. 8월에는 필리핀 MC그룹의 니켈 전문 자회사와 합작해 니켈 공급망을 확보했다.

김준형 포스코퓨처엠 사장은 최근 비전 선포식에서 “원료부터 제품 생산, 재활용에 이르는 풀 밸류체인을 구축해 차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며 “2030년 양극재와 음극재를 각각 100만 톤, 37만 톤씩 생산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김경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