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합작사 中지분 인수 검토…K배터리 '전략수정'

◆美 'FEOC 세부규정' 후폭풍

中지분 25% 이상땐 보조금 배제

업계 '대중 의존도 낮추기' 비상등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0월 미국 디트로이트에서 열린 오토쇼에서 미국산 자동차에 올라타 웃고 있다. AP연합뉴스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0월 미국 디트로이트에서 열린 오토쇼에서 미국산 자동차에 올라타 웃고 있다. AP연합뉴스






미국이 중국 자본의 지분율이 25%를 넘는 배터리 합작사를 ‘해외우려기업(FEOC)’으로 지정하면서 국내 배터리 업계가 전략 수정에 착수했다. 배터리 핵심 소재에 대한 대(對)중국 의존도를 낮추지 못할 경우 내년부터 미국 수출이 사실상 불가능해지는 탓이다.



3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재무부와 에너지부가 1일(현지 시간)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의 전기차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없는 FEOC에 대한 세부 규정안을 발표한 후 국내 배터리 업계는 중국 합작법인과의 지분율 조정과 수출 지역 다변화 등 대책 마련에 돌입했다.

관련기사



현재 미국은 배터리 부품과 핵심 광물 원산지 요건을 충족하고 북미에서 최종 조립된 전기차를 대상으로 최대 7500달러의 세액공제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이 혜택을 받으려면 배터리 부품은 2024년부터, 배터리에 들어가는 핵심 광물은 2025년부터 FEOC에서 조달하면 안 된다.

미 재무부는 IRA의 전기차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없는 FEOC에 중국 정부와 관련된 합작회사 지분율이 25% 이상인 경우도 포함했다. 미국의 전기차 보조금이 중국 측으로 흘러 들어가지 못하게 함으로써 미국의 전기차 공급망에서 중국을 최대한 배제하려는 조치다.

업계는 중국 지분율 범위와 관련해 예상했던 수준이라고 평가하면서도 대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특히 중국과의 합작 투자를 적극적으로 이어온 배터리 소재 업체들은 올해 말까지 중국 측 지분율을 낮추지 않으면 내년부터 미국에서 IRA 전기차 보조금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지분율 하향 조정 등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양극재·전구체 등 핵심 소재를 만드는 합작 공장의 경우 미국 수출을 염두하고 지은 경우가 많아 중국 지분을 전량 인수하는 방안도 적극 고려하고 있다. 흑연 등 중국 의존도가 높은 핵심 광물의 경우 요건 달성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점에서 긴장한 내색도 역력하다.

배터리 업계의 한 고위 관계자는 “중국과의 합작 비중이 높은 LG화학 등 소재사들은 지분율 조정, 수출 시장 다변화 등 전략 수정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서민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