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IB&Deal

‘벼랑끝 기업’ 백기사 나섰다 경영권도 노리는 사모펀드 [시그널]

KKR, 유동성 위기 태영에 4000억 투입

높은 이자 취하고 알짜 자회사도 인수

H&Q, 돈 급한 현정은에 3000억 지원

“현대엘리 경영권 사실상 넘겼다” 평가

서울 여의도 태영건설 본사 사옥 전경. 사진=태영건설서울 여의도 태영건설 본사 사옥 전경. 사진=태영건설




고금리와 경기침체, 경영권 분쟁 등 각종 악조건 속 한계에 봉착한 기업들에 사모펀드(PEF)들이 수천억원씩 자금을 지원하며 잇따라 백기사로 나서고 있다. 벼랑 끝에 선 기업들이 자금 조달의 쉬운 선택지로 사모펀드와 손을 잡지만 결국 알짜 자산은 물론 경영권까지 넘겨주는 경우도 늘고 있다.

5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TY홀딩스는 자회사 태영인더스트리 지분 40%를 글로벌 사모펀드인 콜버그크레비스로버츠(KKR)에 960억 원을 받고 매각하기로 했다. KKR은 TY홀딩스 최대주주인 윤석민 회장 일가가 보유한 나머지 지분 60%도 인수하며 총 2400억 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TY홀딩스는 이와 함께 자회사인 평택싸이로 지분 37.5%도 600억 원을 받고 KKR에 매각하기로 했다.



앞서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TY홀딩스는 올 초 KKR로부터 4000억 원을 조달했다. 당시 KKR과 합작한 종합 환경전문기업 에코비트 지분(50%)과 태영건설(009410)이 보유한 부동산을 담보로 내걸어 4년 만기에 13%의 고금리로 사채를 발행했다. 그러나 고금리 지속에 눈덩이처럼 대출 이자 부담이 커지자 결국 알짜 물류 자회사인 태영인더스트리 경영권까지 KKR에 넘기고 만 것이다.

관련기사



TY홀딩스의 위기는 핵심 자회사인 태영건설의 우발 채무가 급격히 커진데 따른 것이다. TY홀딩스가 이달 초까지 태영건설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채무에 보증을 선 금액만 10조4570억 원에 달한다. 업계는 TY홀딩스가 담보로 내건 기업 지분들이 KKR에 더 넘어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 사진=현대엘리베이터.현정은 현대그룹 회장. 사진=현대엘리베이터.


현정은 현대엘리베이(017800)터 회장도 지난 9월 국내 사모펀드인 H&Q코리아에서 대규모 자금을 조달한 것 역시 향후 회사 경영권을 흔들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현 회장과 자녀들이 지분 100%를 소유한 현대홀딩스는 올 9월 H&Q코리아에 전환상환우선주와 전환사채, 교환사채 등을 발행하며 총 3007억 원을 조달했다.

현 회장 측의 대규모 자금 조달은 현대엘리베이터 2대주주인 쉰들러와 소송에서 지난 4월 최종 패소하며 비롯됐다. 백기사로 나선 H&Q코리아는 현 회장 측의 대출 만기를 앞두고 10%대 고금리에 자금을 수혈해주고 전환사채 등을 확보했다. 전환사채를 향후 지분으로 모두 전환하면 H&Q코리아가 현대홀딩스 지분을 52%까지 확보할 수 있다. IB 업계의 한 관계자는 “현대홀딩스가 3000억 원을 제때 갚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 현대홀딩스는 현대엘리베이터 지분 19.25%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업계 일부에선 메리츠금융그룹이 롯데건설과 올 초 공동 조성한 1조5000억 원 짜리 펀드 만기가 내년 1분기에 돌아오는 것도 주목한다. 한 사모펀드 관계자는 “1년이 지났지만 PF 시장이 불안한 것은 여전하다” 며 “롯데가 돈을 갚지 못하고 펀드 만기를 연장하려면 담보를 추가 제공하거나 금리를 더 높여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충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