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세계 첫 심야자율주행버스 타보니]주행은 완벽…“느려서 답답" 불만도

서울시, 4일부터 합정~동대문역 9.8km 구간

오후 11시 30분부터 오전 5시 10분까지 운행

버스 내부에 자율주행 위한 모니터 등 배치

운전 보조요원 기사석 탑승 ‘돌발 상황’ 대비

대체로 편안한 주행… 급정거 등은 ‘불편’

서울시가 세계 최초로 도입한 심야 자율주행 버스의 내부. 차량 인근 상황을 알려주는 모니터가 배치돼 있다. 채민석 기자서울시가 세계 최초로 도입한 심야 자율주행 버스의 내부. 차량 인근 상황을 알려주는 모니터가 배치돼 있다. 채민석 기자





4일 오후 11시 30분 서울 마포구 합정역 인근 버스 정류장. ‘서울 심야 자율주행 버스’라는 문구가 적힌 ‘심야A21’ 버스가 정류장에 도착했다. 처음 등장한 버스에 올라타기를 망설이던 승객들은 탑승하자 이내 휴대폰을 꺼내 신기한 듯 버스 내부를 촬영하기 시작했다.

이날 서울 시민들에게 첫선을 보인 심야A21 버스는 세계 최초의 심야 자율주행 버스다. 서울시는 자율주행 버스 업체 SUM, 서울대 컨소시엄과 계약을 맺고 현대자동차 최초의 저상형 전기버스인 ‘일렉시티(Elec-city)’를 개조해 테스트를 진행한 뒤 정식 운행을 시작했다.



심야A21 버스는 평일 오후 11시 30분부터 오전 5시 10분까지 70분 간격으로 총 5회 왕복 순환한다. 합정역과 동대문역에서 각각 1대씩 총 2대가 배치되며 홍대입구역·이대역·광화문·종로5가 등을 거쳐 총 9.8㎞ 구간을 운행한다.

관련기사



버스 내부에는 장애인석을 포함한 23개의 좌석이 배치됐고 현행법에 따라 돌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배치된 운전 보조 요원이 기사석에 앉아 있었다. 안전을 위해 좌석에는 안전벨트가 부착돼 있고 입석은 금지다.

가장 큰 특징은 자율주행을 위한 장비들이 버스 내부에 배치됐다는 점이었다. 운전석 뒷자리와 전면 출입구 옆자리에 마련된 모니터에는 버스 근처를 지나가는 차량이나 사람에 대한 위치정보가 실시간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승객들이 볼 수 있는 안내 모니터에도 자율주행 여부, 버스 속력, 현재 위치 등의 정보가 표시됐다.

승객들은 대부분 ‘사람이 운전하는 것만큼 자연스럽다’는 반응이었다. 김예린(21) 씨는 “처음에는 신기했는데 중간부터는 일반 버스를 타는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며 “입석을 허용해도 무리가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일부 승객들은 버스의 속도에 불만을 표시하기도 했다. 서울시 도심 제한속도인 시속 50㎞로 설정돼 있지만 이보다 느린 35~45㎞로 주행했기 때문이다. 또한 버스 전면에 다른 차량이 없음에도 급정거를 하기도 했다. 신창현(63) 씨는 “속도에 대한 융통성이 없어 일반 버스보다 느린 것 같아 답답하다”며 “버스 전용 차로로 다니다 보면 뒤따라오는 버스들이 밀린다는 단점이 있는 것 같다”고 얘기했다.

세계 최초로 도입된 만큼 외국인 관광객도 관심을 보였다. 영국 출신 에릭(31) 씨는 “굉장히 자연스러웠고 안전하다는 느낌이 들었는데 안전벨트를 착용해야 한다는 것은 불편했다”고 평가했다. 이날 버스에 함께 탑승한 유진수 서울대 기계공학과 연구원은 “테스트를 통해 안정성을 점검한 뒤 처음으로 시민들에게 장거리 구간을 선보이게 됐는데 문제 없이 마칠 수 있어서 다행”이라며 “승차감 면에서는 개선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채민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