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성차 노조위원장 선거에 나선 후보자들이 경쟁적으로 과도한 ‘제 밥그릇 챙기기’ 주장을 하고 있다. 5일 실시된 현대자동차 노조 결선투표에 나선 두 명의 유력 후보는 모두 정년 연장, 노동시간 단축 등을 내건 강경파였다. 선거에 나온 대부분의 후보들은 주 4일 근무제 도입, 상여금 900% 쟁취, 분배 정의 실현 등 대동소이한 공약을 냈다. 새로 구성되는 노조는 내년에도 파업 불사를 외치며 과도한 요구를 내세울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기아 노조위원장 선거에 나선 후보 세 명도 62세나 64세로 정년 연장, 주 4일제나 금요일 오전 11시에 퇴근하는 4.5일제 도입 등을 약속하며 선명성 경쟁을 벌이고 있다.
회사의 수익이 늘어날 경우 노조가 성과 배분을 주장할 수는 있다. 하지만 올해 완성차들의 역대급 실적은 노조원들의 생산성 향상 덕분이라고 평가하기 어렵다. 현대차 울산공장의 시간당 차량 생산 수는 평균 45대로 미국 앨라배마 공장 68대의 3분의 2 수준이다. 이런데도 현대차 생산직의 평균 연봉은 2021년 기준으로 9600만 원에 이른다. 반면 완성차 노조원들의 고연봉을 떠받치느라 협력 업체들은 납품 단가 인하 압력에 시달리고 있다. 협력 업체 근로자들의 연봉은 완성차의 절반은커녕 3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특히 정년 연장 요구는 질 좋은 일자리가 부족한 2030세대의 희망을 빼앗고 전기차 등으로의 산업구조 전환을 가로막게 된다.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바람으로 현지 생산에 대한 압박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노조마저 강경 투쟁을 일삼으면 기업은 공장을 해외에 지을 수밖에 없다. 미래차 경쟁에서 뒤처지고 공장이 없어지면 지금의 일자리도 지킬 수 없다. 현대차 내부에서도 젊은 사무직 노조원들이 4050세대 생산직 중심의 노조 활동에 반발하고 있다. 지금 대다수 국민들은 미약한 경기회복세에다 고금리와 고물가·가계부채 등으로 시름하고 있다. 기득권 강성 노조의 지나친 이기주의 행태는 노사 모두의 공멸을 초래하는 자해 행위가 될 뿐이다. 노사 협력을 통해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투자와 고용을 늘리는 게 진정 노동자들을 위하는 길임을 알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