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애플, 인도서 배터리 생산 추진

공급망 탈중국 속도전

"배터리 제조업체에 통보"

日 TDK도 배터리 셀 시설 구축 나서


애플이 최신 아이폰에 쓰이는 배터리의 인도 생산을 추진한다. 공급망을 중국에서 인도 등 다른 지역으로 이전하는 노력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6일(현지 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 인도 일간 비즈니스투데이 등에 따르면 애플은 조만간 출시할 예정인 최신 아이폰의 배터리가 인도에서 생산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애플은 이를 위해 부품 공급 업체들에 이미 이런 내용을 통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더사이(DESAY)와 같은 배터리 제조 업체들은 인도에 신규 공장 설립을 권유받았고 대만의 심플로(Simplo)도 향후 추가 주문에 대비해 인도 내 생산 확대를 요청받았다. 한 소식통은 “애플이 아이폰16용 배터리 공급이 순조롭게 진행되면 더 많은 아이폰 배터리 생산지를 인도로 이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아이폰16은 내년에 출시될 예정이다.

관련기사



이와 별개로 애플 공급 업체인 일본 TDK는 인도에서 아이폰용 리튬이온 배터리셀을 생산할 계획이라고 인도 연방정부 전자·정보통신(IT) 담당 부장관인 라지브 찬드라세카르가 5일 밝혔다. 그는 TDK가 델리주에 인접한 하리아나주 마네사르에 180에이커(73만 ㎡) 규모의 설비를 구축하고 있다며 생산된 제품은 인도산 아이폰에 사용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공장은 2025년에 가동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앞서 지난달 말 애플의 최대 공급 업체인 대만 폭스콘은 인도의 신규 제조 시설에 15억 달러(약 2조 원)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폭스콘은 중국 허난성 정저우 공장에서만 아이폰의 80% 이상을 생산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해 10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공장 봉쇄 상황에서 노동자들의 집단 탈출로 생산에 차질이 빚어지자 중국 공장의 인도 이전 등을 추진해왔다.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이끄는 인도 역시 다양한 인센티브로 다국적 제조 기업의 인도 투자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