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지지율 열세 속 승부수 꺼낸 바이든…11조 규모 美서부 고속철 건설

라스베이거스와 로스엔젤레스 연결 철도부터 시작

1971년 미국 암트랙 설립 이후 최대 규모 철도 투자

트럼프 향해 날선 비판 "자신이 뭔 말하는 지 몰라"





내년 대선을 앞두고 있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총 10조원을 들여 미국에 고속철도를 도입하는 대대적인 인프라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의 대선 여론조사 가상 대결에서 잇따라 열세를 보이는 가운데 지지율을 끌어올리기 위한 행보로도 읽힌다.



바이든 대통령은 8일(현지시간)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를 방문해 라스베이거스와 로스앤젤레스를 연결하는 총 32억 달러(약 4조2,240억 원) 규모의 고속철도를 건설한다고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중국에서 철도는 시속 220마일로 달린다”면서 “우리는 최고의 경제를 가지고 있다. 최고의 인프라 없이 어떻게 최고의 경제가 될 수 있겠냐”고 반문했다.



오는 2028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을 앞두고 이뤄지는 총 10개 노선의 미국 서부 지역 철도 건설에는 총 82억달러(10조 7871억원)이 소요될 전망이다.

관련기사



미 언론들에 따르면 이는 지난 1971년 미국철도여객공사(Amtrak·암트랙)이 설립된 이후 최대 규모의 철도망 투자다.

이와 관련, 피트 부티지지 교통부 장관은 라스베이거스-로스앤젤레스 노선 건설로 자동차 운전의 절반 수준인 2시간 만에 해당 구간 주파가 가능하고 말했다. 또 그는 최대 1100만 명의 승객까지 수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향후 고속철도는 동부의 워싱턴 DC와 버지니아, 펜실베이니아, 메인, 매사추세츠 등으로 확장된다.



미국은 워낙 광대한 국토를 보유한 탓에 속도가 느린 철도보다는 자동차 문화가 발달 된 나라다. 하지만 이번에 도입되는 고속철도는 속도는 물론, 이동의 편의성을 크게 높일 것이라고 부티지지 장관은 강조했다. 그는 “일본이나 독일, 스페인과 이탈리아의 철도를 보고 '왜 우리는 이런 좋은 것을 갖지 못할까 생각했다면 이것이 바로 그 해답의 시작이다"고 말했다.

한편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대선 경쟁자인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한 견제 수위도 높였다. 그는 "트럼프는 말만 했지만 우리는 이것을 실행하고 있다"면서 “그는 미국이 실패하고 있다고 말하기를 좋아하는 데, 사실 그는 자신이 무슨 말을 하는 지도 잘 모른다”고 밝혔다.


워싱턴=윤홍우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