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현대차, 수소 모빌리티 생태계 넓힌다

환경부·수자원公 등과 업무협약

현대차는 자원 순환형 모델 공유

사진 왼쪽부터 이영석 환경부 기후변화정책관, 박철연 현대차 글로벌수소비즈니스사업부장 상무, 신경남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 사무차장보, 한화진 환경부 장관, 소유섭 SK E&S 수소사업개발그룹장 부사장, 오은정 한국수자원공사 환경에너지본부장이 지난 8일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엑스포시티에서 '글로벌 수소 모빌리티 생태계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현대차사진 왼쪽부터 이영석 환경부 기후변화정책관, 박철연 현대차 글로벌수소비즈니스사업부장 상무, 신경남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 사무차장보, 한화진 환경부 장관, 소유섭 SK E&S 수소사업개발그룹장 부사장, 오은정 한국수자원공사 환경에너지본부장이 지난 8일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엑스포시티에서 '글로벌 수소 모빌리티 생태계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현대차




현대자동차가 8일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 개최지인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엑스포시티에서 환경부, 한국수자원공사,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 SK E&S와 ‘글로벌 수소 모빌리티 생태계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COP는 1992년 유엔 환경개발회의에서 체결한 기후변화협약의 구체적인 이행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매년 진행하는 회의로 기후변화협약 가입국 199개국이 참여한다.

관련기사



이번 협약은 국내에서 진행 중인 수소생태계 구축 선도 사례를 국제사회에 공유해 전 세계 수소생태계를 빠르게 성장시키고 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대차와 환경부, 한국수자원공사, SK E&S는 각 제공 사례에 대한 조사 연구를 지원하고 GGGI는 평가 보고서를 발간해 주요 사례의 공유·확산에 힘을 보탠다.

현대차는 자원 순환형 수소 생산 프로젝트인 ‘웨이스트 투 하이드로겐’을 소개하고 해당 사업 모델을 글로벌 시장에 확대 적용하는 데 앞장선다. 이 프로젝트는 음식물 쓰레기, 가축 분뇨 등 폐기물에서 추출된 메탄을 정제해 바이오가스를 생산한 후 수소에너지로 자원화하는 사업 모델이다.

수소 생산 자원이 부족한 국가에서도 버려진 폐기물을 활용해 지역 단위의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수소 생산·운반·저장 과정의 비용을 절감해 수소 자원의 독립성을 높일 수 있다.

현대차 관계자는 “자원 순환형 수소 생산 모델은 국내에서 이미 사업화된 친환경 수소 생산 방식”이라며 “이번 협약을 통해 웨이스트 투 하이드로겐 사업을 해외시장에도 전개하고 글로벌 수소사회 내 순환경제 확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노해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