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인물·화제

"메시·음바페도 제쳤다"…'초대박' 오타니 연봉, 오만원권 쌓으면 롯데타워 '3.6배'

사진=디 애슬레틱 캡처사진=디 애슬레틱 캡처




일본의 야구계 슈퍼스타 오타니 쇼헤이(29)가 10일(한국시간) 미국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 10년 7억 달러(약 9200억원)에 자유계약선수(FA) 계약을 맺었다.



이로써 오타니는 MLB, 북미스포츠를 넘어 전 세계 프로스포츠 사상 최고액의 계약을 성사한 선수가 되는 새로운 역사를 만들어 냈다.

MLB 홈페이지인 MLB닷컴은 이날 "오타니의 계약은 축구 슈퍼스타 리오넬 메시가 스페인 프로축구 프리메라리가 FC바르셀로나와 2017년부터 2021년까지 맺었던 역대 최고 규모 계약, 6억7400만 달러를 뛰어넘는 규모"라고 전했다. 또한 또 “킬리안 음바페가 2025년까지 파리생제르맹(PSG)에 잔류할 경우 받을 수 있는 약 6억7900만 달러(8962억원)도 뛰어넘는 금액”이라고 설명했다. 총액 기준으로는 오타니가 메시나 음바페를 뛰어넘는 기록이다.

미국프로풋볼(NFL) 쿼터백 패트릭 머홈스(캔자스시티 치프스)의 북미 프로스포츠 최고 몸값(10년 4억5000만 달러), 에인절스 외야수 마이크 트라우트의 MLB 최고 몸값(12년 4억2650만 달러) 기록은 쉽게 제쳤다.

오타니는 연평균 보수에서도 7000만 달러(924억원)로 맥스 셔저, 저스틴 벌랜더가 MLB 뉴욕 메츠에서 받았던 4333만달러 기록을 가뿐하게 넘어섰다.

오타니의 계약 규모는 경기당 연봉으로 계산했을 때 더욱 놀라움을 자아낸다. 오타니는 팔꿈치 부상으로 2024시즌엔 지명타자로만 나서는데, 정규리그 162경기에 모두 출전한다면 경기당 5억7000만원을 받는다는 계산이 나온다. 경기당 5차례 정도 타석에 들어선다고 봤을 때 한 타석당 1억1000만원을 받는 셈이다.



또한 오타니의 몸값은 해당 금액으로 몇몇 구단의 연간 운영비를 충당할 수 있을 정도로 엄청난 액수다. AP통신은 "오타니의 연봉은 볼티모어 오리올스,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의 선수단 1년 급여를 초과한다"고 전했다. 오타니가 받을 연봉을 1년 반 정도 모으면 KBO리그 인기 구단을 인수할 수도 있다.

관련기사



신세계그룹이 2021년 SK 와이번스를 인수할 때 치른 대금은 총 1352억원이었다.

오타니의 몸값을 지폐 높이로 계산했을 때 국내 최고층 빌딩 잠실 롯데타워의 3.5배다. 사진=롯데물산오타니의 몸값을 지폐 높이로 계산했을 때 국내 최고층 빌딩 잠실 롯데타워의 3.5배다. 사진=롯데물산


오타니의 연봉을 단순 지폐 크기로 계산하면 더욱 놀라운 금액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오만원권 100장의 두께는 약 1.1㎝인데, 9200억원을 오만원권으로 쌓으면 약 2024m가 된다. 이는 국내 최고층 빌딩 잠실 롯데타워(555m)의 3배를 크게 넘는다.

사진=NC다이노스 홈페이지 캡처사진=NC다이노스 홈페이지 캡처


오타니 몸값이면 국내 신축 야구장을 5개 정도 지을 수 있다. MLB 급이라고 꼽히는 창원NC파크는 1270억원, 국내 유일의 돔구장 고척스카이돔엔 1950억원이 투입됐다.

한국 선수 최고 몸값은 2013년 12월 텍사스 레인저스와 계약기간 7년, 1억3000만 달러에 FA 계약을 맺은 추신수(현 SSG 랜더스)다.

오타니의 몸값은 추신수보다 총액 기준 5배, 연평균 3.7배 이상 많다.

오타니는 2013년 일본 프로야구 닛폰햄 파이터스에 입단해 ‘이도류(二刀流·투타겸업)’ 돌풍을 일으킨 뒤 지난 2018년 에인절스에 입단했다. 오타니는 빅리그 데뷔 첫해인 2018년 타자로서 22홈런, 투수로서 4승을 거두며 아메리칸리그(AL) 신인상을 받았고, 2021년과 2023년 AL 최우수선수(MVP)가 되며 MLB를 평정했다. 두 차례나 ‘만장일치’로 MVP 트로피를 받기도 했다. 이는 MLB 최초 기록이었다.

그는 MLB 6시즌 통산 투수로서 38승 19패, 평균자책점 3.01을 마크했고, 타자로서는 171홈런, 437타점, 통산 타율 0.274를 기록했다. 장타율과 출루율의 합계인 OPS는 0.922를 기록하며 슈퍼스타의 기준인 0.9를 훌쩍 넘겼다.


이종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