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HK이노엔, 보령과 1500억 신약 '케이캡' 공동판매

종근당에 케이캡 판권 계약해지 통보

국내 전통제약사 보령과 막바지 협상

이르면 이번주 중 최종계약 확정될듯

케이캡, 올해 1500억 처방 실적 예상

HK이노엔의 ‘케이캡’. 사진 제공=HK이노엔HK이노엔의 ‘케이캡’. 사진 제공=HK이노엔




HK이노엔(195940)이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인 국산 30호 신약 ‘케이캡’ 유통 판권을 놓고 보령(003850)과 막바지 협상에 들어갔다. 기존에 케이캡 유통을 담당했던 종근당(185750)에는 지난주 계약 해지 통보를 한 것으로 확인됐다. 케이캡은 올해 약 1500억 원의 처방 실적을 올릴 것으로 예상되는 블록버스터 의약품이다.

11일 서울경제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HK이노엔은 지난주 종근당에 케이캡 유통 판권 계약 해지를 통보했다. HK이노엔은 보령과 협업하거나 자체 유통하는 방안을 저울질하고 있다. 현재로서는 케이캡 유통은 보령이 담당하고 케이캡 구강붕해정(입에서 사탕처럼 녹여 먹는 제형) 판매는 HK이노엔이 맡는 방안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초 종근당이 케이캡 유통 판권 계약을 연장할 수 있을 것이란 관측도 나왔지만 HK이노엔은 재계약 의사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케이캡 유통 판권 계약은 이르면 이번주 중 최종 확정될 전망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케이캡은 1000억 원 이상의 처방 실적을 올리는 만큼 유통 판권을 차지하면 회사 매출 성장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케이캡은 칼륨경쟁적위산분비억제제(P-CAB) 계열 경쟁 약물 출시에도 불구하고 처방 실적이 매년 늘어나고 있다. P-CAB 계열은 프로톤 펌프 억제제(PPI) 계열보다 약효가 빠르고 식사 여부와 상관 없이 복용할 수 있다. 케이캡 처방 실적은 지난 10월까지 1285억 원으로 전년 대비 약 20% 성장했다. 업계에서는 현재 추세라면 케이캡의 올해 처방 실적이 1500억 원을 넘어설 것으로 보고 있다.

HK이노엔은 케이캡을 중심으로 체질 개선에 나서고 있다. HK이노엔 매출에서 케이캡 비중은 점점 커지고 있다. 지난해 매출에서 케이캡의 비중은 10%였다. 올해 3분기 매출 중 케이캡 비중은 14%로 집계됐다. 최근에는 MSD와 가다실 등의 백신 유통 계약을 종료하며 수익성 강화에 나서고 있다.

아스트라제네카의 당뇨 치료제, 로슈의 인플루엔자 치료제 등의 제품도 확보했다. HK이노엔 관계자는 “수익성이 높은 경구제 중심 포트폴리오로 내실을 키우는데 집중할 예정” 이라며 “내년은 대형 제품을 바탕으로 수익성 강화에 방점을 찍는 해로 만들겠다”고 했다.

보령은 국내 대형 병원은 물론 일반 병의원에도 영업력을 강화하고 있다. 보령은 국산 15호 신약인 고혈압 치료제 ‘카나브’ 뿐만 아니라 각종 항암제 등을 판매하며 제약 업계에서 전례 없는 성장 가도를 달리고 있다. 보령의 매출은 2014년 약 3000억 원에서 올해는 8500억 원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탄탄한 영업력을 바탕으로 내년 1조 원대 매출을 정조준하고 있다. 장두현 보령 대표가 현장 경영으로 영업망을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HK이노엔도 보령의 이같은 영업력을 유통 판권 계약의 중요 사항으로 고려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