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李 사퇴·통합 비대위 전환"…비명계 4총사 지도부 압박

“당 지도부·586, 기득권 내려놔야”

李 “변화하되 단합·단결 유지 중요”

엔씨소프트 출신 50대 기업인 영입

14일 국회 소통관에서 더불어민주당 비주류 모임 ‘원칙과 상식’ 소속 의원들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김종민(왼쪽부터)·조응천·윤영찬·이원욱 의원. 연합뉴스14일 국회 소통관에서 더불어민주당 비주류 모임 ‘원칙과 상식’ 소속 의원들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김종민(왼쪽부터)·조응천·윤영찬·이원욱 의원. 연합뉴스




14일 국회 소통관에서 더불어민주당 비주류 모임 ‘원칙과 상식’ 소속 의원들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김종민(왼쪽부터)·조응천·윤영찬·이원욱 의원. 연합뉴스14일 국회 소통관에서 더불어민주당 비주류 모임 ‘원칙과 상식’ 소속 의원들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김종민(왼쪽부터)·조응천·윤영찬·이원욱 의원.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내 비주류 의원 모임인 ‘원칙과 상식’ 소속 4인방이 14일 이재명 대표를 포함한 당 지도부의 총사퇴와 함께 모든 계파를 아우르는 통합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의 전환을 촉구하고 나섰다. 총선을 4개월 앞두고 여당발 인적 쇄신의 물꼬가 터지자 야당 내에서도 이재명 지도부에 대한 공개 반발이 본격화하는 모습이다.

관련기사



원칙과 상식 멤버인 이원욱·김종민·조응천·윤영찬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당 대표가 ‘선당후사(先黨後私)’하는 통합비대위로 가야 한다. 이 결단에는 ‘친명’ ‘비명’ 모두 합류할 것”이라며 “총선 승리와 윤석열 정권에 대한 압도적 심판을 위해 한 발만 물러서달라”고 호소했다. 비명계인 이들은 “(친명) 한목소리의 현재 지도부로는 진정한 통합을 이뤄내기 어렵다”며 “당 대표와 지도부, 586 중진들이 각자 기득권을 내려놓는 선당후사를 결단해야 한다”고 지도부 사퇴를 거듭 압박했다. 이는 여당의 친윤계 주류인 김기현 대표, 장제원 의원이 각각 최근 대표직 사퇴,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국민의힘에 혁신의 바람이 거세진 반면 야권에서는 지도부의 버티기로 혁신이 지지부진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이 의원 등 4인은 당 지도부를 향해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유지하겠다는 약속도 지키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선거 당리당략을 위해 국민과의 약속을 저버리는 것은 국민 위에 군림하는 ‘선당후민(先黨後民)’의 길”이라며 “우리 네 명 모두 공천이나 당선 욕심을 내려놓고 험지 출마든 백의종군이든 선당후사의 길에 앞장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당의 쇄신 요구에 대해 이 대표는 “총선 승리를 위해서는 혁신과 통합을 잘 조화하는 게 중요하다. 변화하되 최대한 단합과 단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중요하지 않겠느냐”며 즉답을 피했다. 이 대표는 비명계의 압박에도 마이웨이를 고수하고 있다. 특히 내년 총선에 나설 ‘2호 인재’로 엔씨소프트 출신의 50대 기업인을 낙점하고 외부 인재 영입에 속도를 내고 있다. 민주당은 이날 “자율주행 스타트업 세솔테크 고문이자 전 엔씨소프트 전무이사 출신의 이재성 씨를 영입했다”며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새로운 도전을 통해 자수성가한 기업인의 롤모델”이라고 소개했다. 이 씨는 영입식 직후 “당과 상의해봐야겠지만 비례대표는 나가지 않을 것”이라며 “개인적으로 부산에서 발전이 더딘 서부산 지역에 출마하고 싶다”는 뜻을 내비쳤다.


김현상 기자·전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