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최태원, 지방판 '웨이브' 만든다… "지역소멸 해결 열쇠 기업에 있어"

2023 지역경제포럼 참석해

지방소멸 문제 아이디어 제시

최태원(왼쪽부터) 대한상공회의소 회장과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유홍림 서울대학교 총장이 18일 서울대학교 시흥캠퍼스에서 열린 ‘2023 지역경제포럼’에 참석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대한상공회의소최태원(왼쪽부터) 대한상공회의소 회장과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유홍림 서울대학교 총장이 18일 서울대학교 시흥캠퍼스에서 열린 ‘2023 지역경제포럼’에 참석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대한상공회의소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많은 상공인들이 '청년이 사라지고 있다'고 이야기하는 등 지역 소멸의 위기감을 피부로 느끼고 있다"며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열쇠는 기업에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18일 '함께 만들어가는 지역경제, 기업과 정부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서울대 시흥캠퍼스에서 열린 '2023 지역경제포럼'에 참석해 "지역문제를 풀어나갈 수 있는 기업주도 플랫폼을 만들겠다"며 이 같이 강조했다. 이날 포럼에는 최 회장을 비롯해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과 유홍림 서울대학교 총장 등 200여명이 참석해 지역경제 정책과 기업의 현실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최 회장은 이 자리에서 지역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세 가지 아이디어를 직접 소개했다. 우선 탑다운 정책 방향을 바텀업으로 전환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민간이 논의를 조금 더 주도하기 위해 기업 주도로 학계와 정부 등이 모여 논의하는 지역 플랫폼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엑스포 유치를 위해 만들었던 글로벌 문제 해결 플랫폼인 '웨이브'의 지역판을 만들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관련기사



그는 이어 "기업이 투자하는데 필요한 정책을 한묶음으로 만들어내는 '메가 샌드박스'를 만들자"고 제안했다. 케이스 바이 케이스 식으로 사례 중심으로 정책을 짜다보니 제대로 된 '케미'를 만들어내지 못했다는 게 최 회장의 생각이다.

그는 마지막으로 생각의 전환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지금까지는 꽉 차 있는 수도권에서 비어있는 지방으로 무언가를 옮기는 방안만을 고민했지만 앞으로는 넓은 공간(지방)을 어떻게 채워넣을지를 더 중요하다는 발상의 전환이다.

그는 "시흥을 한자로 풀면 흥함이 시작된다(始興)라는 뜻이 된다"며 "앞으로도 이런 포럼을 자주 개최해 지방 문제 해결책을 찾아가겠다"고 말했다.

이상민 장관은 "지방정부 스스로가 지역 고유의 가치를 활용한 발전기반을 토대로 지역의 일원인 기업, 대학과 협력하여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해야 한다"며 "정부도 지역과 끊임없이 소통하면서 지역 주도의 발전전략을 적극 뒷받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서일범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