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해외 칼럼]팬데믹 이전 성장 전망 넘어선 美 경제  

캐서린 람펠

워싱턴포스트 칼럼니스트

'팬데믹 상처' 장기화 우려 컸지만

신속한 재정·통화 부양책 펼치자

노동시장·GDP 예상밖으로 순항

여전한 '인플레이션 악몽' 변수로





미국인들은 좀처럼 믿으려 들지 않지만 수치상으로 볼 때 미국 경제는 꽤 잘나가고 있다. 사실 국내 경제는 팬데믹이 시작되기 이전에 나온 전망치를 연이어 추월해가며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내닫고 있다.



연방노동통계청에 따르면 미국의 고용주들은 지난달 월가의 예상을 살짝 웃도는 총 19만 9000개의 새로운 일자리를 추가했다. 팬데믹이 시작되기 이전인 2020년 1월, 초당파적 기구인 의회예산국(CBO)이 전망한 올해 11월의 전체 고용 규모에 비해 200만 개의 일자리가 얹힌 수치다.

이건 대단히 경이로운 일이다. 팬데믹이 닥치자 많은 경제 전문가는 이로 인한 상처가 오랫동안 아물지 않을 것으로 우려했다. 2007~2009년 경기 대침체(Great Recession) 이후 노동시장이 충격을 털어내고 직장을 잃은 근로자들이 다시 안정을 찾을 때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렸다. 하지만 기록적인 일자리 손실로 이어진 공중보건 위기 속에서 근로자들은 글로벌 쇼크의 후유증을 견뎌내며 노동시장의 실지 회복에 성공했다. 그들의 행진은 여기서 멈추지 않았고 끝내 팬데믹 이전에 나온 전문가들의 예상을 넘어섰다.

다른 기준을 적용해도 결과는 마찬가지다. 노동시장은 팬데믹 이전의 예상을 여지없이 따돌렸다. 예를 들어 2020년 1월 CBO는 올해 말의 국내 실업률이 4.2%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실제 수치는 반세기 만의 저점인 3.7%에 머물고 있다. 실업률은 지난 2년 연속 4%, 혹은 그 아래로 떨어졌다.

노동시장 이외의 다른 경제 전선에서도 전문가들의 전망은 빗나갔다. 하버드대 경제학 교수이자 버락 오바마 행정부 국가경제회의 수석부의장을 지낸 제이슨 퍼먼이 지적하듯 국내총생산(GDP)을 기준 삼아 측정한 현재의 경제 규모 역시 팬데믹 이전에 나온 전문가들의 예상을 넘어섰다.

인플레이션 조정을 거친 오늘날 미국의 GDP는 팬데믹 전인 2020년 초반에 국제통화기금(IMF)이 내놓은 경제 전망을 무색하게 만들었다. IMF는 미국이 다른 나라와는 비교조차 할 수 없을 만큼 큰 차이로 IMF의 예상을 뛰어넘었다고 밝혔다.



팬데믹 위기 이전에 이처럼 유수한 국제기구와 명망 높은 전문가들이 미국 경제의 성장 여력을 저평가했던 이유가 뭘까. 또 예상보다 심각했던 인플레이션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고용과 GDP가 순항을 거듭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관련기사



전문가들은 팬데믹을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 정부가 코로나바이러스에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엄청난 반응을 보일 것이라는 기대도 하지 않았다.

그러나 공중보건 위기가 닥치고 그 여파로 수백만 명의 미국인 근로자들이 일자리를 잃자 정책 결정자들은 이전과 달리 신속하고 단호하게 대응했다. 이들은 이전의 경기 침체 해법, 혹은 다른 나라의 코로나바이러스 대응책에 비해 상대적으로 후한 재정 및 통화 부양책을 구사했다. 이 같은 부양 조치는 미국인 근로자들의 빠른 직장 복귀를 도왔고 경기 대침체 때와는 달리 정상 회복을 위한 길고도 고통스러운 작업을 피해갈 수 있었다. 예상보다 빠른 일자리 성장이 가능했던 이유다.

반면 부양 조치는 가뜩이나 경제의 생산능력이 뒤처져 있던 시기에 소비자 수요를 부추겨 도저히 감당할 수 없는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고용주가 상품과 원자재, 일손의 총체적 부족에 시달리는 상황에서 소비자들의 구매욕이 달아오르자 기업들이 시장에 풀어놓는 재고 상품의 가격이 상승했다. 가격이 예상보다 빨리 올라간 이유다.

팬데믹이 시작된 때로부터 3년 이상이 지난 뒤에야 일자리와 상품 가격 상승효과가 수그러들었다. 가격 성장세가 꺾였고 고용 수치 역시 한때 그랬던 것처럼 눈이 튀어나올 정도는 아니지만 여전히 탄력을 잃지 않고 있다.

만일 2020년 1월 누군가가 일자리 200만 개가 추가되고 실업률이 4%, 인플레이션이 3% 선인 경제에 대해 미국인들이 어떻게 생각할 것인지 물었다면 필자는 “아마도 대단히 만족스러워할 것”이라고 대답했을 것이다.

그러나 현재 시점에서 보면 이건 분명 잘못된 대답이다. 소비자들은 그들을 괴롭혔던 인플레이션의 악몽에서 아직도 벗어나지 못한 상태다. 가시지 않은 분노와 불만 때문인지 유권자들은 일자리 추가 성장 소식에 시큰둥한 반응을 보인다.

아마도 유권자들은 ‘서프라이즈’ 자체를 좋아하지 않는 것인지 모른다. 아니면 더 나은 일자리나 임금은 그들 스스로 일궈낸 당연한 결과인 반면 인플레이션은 일방적으로 강요된 고통으로 받아들이는 인간의 본성 탓일 수 있다. 그러나 일자리와 인플레이션은 같은 동전의 양면처럼 어느 정도 서로 연결돼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