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SPC삼립, 최초 한글조리서 레시피로 만든 '상화병' 출시

음식디미방서 소개된 '상화법' 재해석

"지역 특산물, 전통문화 협업 늘릴 것"

SPC삼립이 최초 한글 조리서 ‘음식디미방’에 나오는 ‘상화법’을 적용한 신제품을 출시한다고 20일 밝혔다. /사진 제공=SPC삼립SPC삼립이 최초 한글 조리서 ‘음식디미방’에 나오는 ‘상화법’을 적용한 신제품을 출시한다고 20일 밝혔다. /사진 제공=SPC삼립




SPC삼립(005610)이 최초 한글 조리서 ‘음식디미방’에 나오는 ‘상화법’을 적용한 신제품을 출시한다고 20일 밝혔다.



신제품 상화병 3종은 음식디미방에 소개된 상화법(고전적 찐빵을 제조하는 방식)에 삼립호빵 제조 노하우를 담아 현대식으로 재해석한 제품이다. 음식디미방은 1670년에 쓰여진 최초의 한글 조리서다. 조선시대 실제 만들던 음식의 조리법과 저장 발효식품 등이 소개돼 있다.

관련기사



‘서리가 하얗게 내린 것 같은 모양의 빵’을 뜻하는 상화병은 막걸리 발효종과 탕종(밀가루와 물을 섞은 후 가열하여 완성하는 밀가루 풀)을 넣어 쫀득한 식감과 풍미가 특징이다.

신제품은 통팥앙금을 넣은 ‘진 통단팥 상화병’, 고구마 분말을 넣은 피에 연유와 단팥 앙금을 넣은 ‘연 통단팥 상화병’, 도토리 분말을 넣은 피에 크렌베리·무화과·호두·아몬드를 넣은 ‘꿀속견과 상화병’ 등 3종이다.

SPC삼립 관계자는 “우리나라 식문화의 역사를 담은 한국 전통 조리법과 SPC삼립 베이커리 기술력을 접목해 독창적인 제품을 선보였다”며 “앞으로도 음식디미방 조리법을 토대로 지역 특산물을 활용하거나 전통 문화와의 협업하는 등의 지역 상생 제품을 적극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SPC삼립은 지난 5월 경상북도 영양군청에서 영양군과 음식디미방 상화법 제품 개발 및 상품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SPC삼립은 음식디미방에 소개된 전통 레시피를 활용해 제품 개발, 생산, 유통·판매를 담당하기로 했다. 영양군은 음식디미방 브랜드 및 네이밍 사용을 포함하여 제품 개발과 홍보를 지원한다.


강동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