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서울 강북구, 초‧중생 ‘스마트팜 인공지능 교육' 운영

서울 강북구 학생들이 스마트팜 재배환경 기초교육으로 '수경재배, 수직정원, 모듈형 키트' 등을 체험하고 있다. 사진 제공=서울 강북구청서울 강북구 학생들이 스마트팜 재배환경 기초교육으로 '수경재배, 수직정원, 모듈형 키트' 등을 체험하고 있다. 사진 제공=서울 강북구청




서울 강북구(구청장 이순희)가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탄소배출 감소에 도움을 주는 ‘스마트팜 인공지능 교육’을 운영했다고 20일 밝혔다.

스마트팜 인공지능교육은 '지속가능한 도시'를 비전으로 삼아 도시생활 환경개선을 위한 프로그램이다. 농작물에게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최적화한 생육 환경을 제공해 생산량은 늘리고 불필요한 노동시간은 줄여준다.



구는 지난 7월부터 12월까지 푸른별환경도서관에서 초등학교 6개교, 중학교 7개교의 학생 총 390여 명에게 스마트팜 체험교육을 21회 실시했다.

관련기사



이번에 실시한 스마트팜 교육은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탄소배출 감소를 위한 ‘마이크로 탄소정원’과 ‘모듈형 스마트팜 체험활동’으로 구성됐다. 6차산업 농촌융복합 푸드테크에 대한 이론 교육과 교구재를 활용한 실습교육이 진행됐고, 강의는 국가자격기술‧전문자격증을 보유한 전문강사 4명이 담당했다.

마이크로 탄소정원 수업은 와이즈 플랜터 3D프린터 화분을 통해 탄소흡수우수종을 길러보는 프로그램이다. 학생들이 직접 IoT 센서를 통해 개념을 이해하고 수업에서 스마트팜 활동으로 생태 전환을 시도해본다. 교육은 △6차산업 푸드테크의 이해 △스마트팜 아두이노 MMB보드 활용교육(코딩 Kit) △서비스디자인 툴키트 활용 수업으로 진행한다.

모듈형 스마트팜 체험활동 수업은 흙과 농약 대신 박막식 수경재배 방식으로 작물 환경을 구성하는 것이다. 모듈형 스마트팜은 배지와 순환하는 영양액으로 작물을 기르기 때문에 세척 단계 없이 농산물을 공급할 수 있다. 농약이 필요없을 뿐 아니라 노지재배 대비 최대 98%까지 물을 절약해 탄소배출도 줄여준다. 교육은 △탄소배출을 줄이는 미래 가드닝의 기초 △탄소흡수우수종 스마트 홈 가드닝 △소감 발표 및 설문조사 순으로 운영한다.

스마트팜 인공지능교육에 참석한 학생들의 만족도 조사결과 92% 이상 ‘매우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너무 재미있었다”, “교육시간이 짧아서 아쉬웠다”, “다른 프로그래밍도 배우고 싶다”, “또 오고싶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이순희 강북구청장은 “선진국은 이미 6차산업시대를 대비하고 있다. 아이들이 사회주역으로 살아갈 미래는 디지털 기술과 물리학, 생물학 등이 융합된 새로운 세상이다. 이번 스마트팜 교육이 학생들에게 미래 푸드테크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높여주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김은미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