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도요타 자회사, 품질인증 부정에 전차종 출하 중단…신뢰 흠집

총 64개 차종…도요타 22종·스바루 9종·마쓰다 2종 포함

오쿠다이라 소이치로 다이하쓰 자동차 대표가 20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고개 숙여 사과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오쿠다이라 소이치로 다이하쓰 자동차 대표가 20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고개 숙여 사과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일본 도요타자동차의 자회사인 다이하쓰공업이 품질인증 부정 문제 발견으로 국내외에서 전 차종의 출고를 중단했다.



20일 NHK 등 일본 언론에 따르면 다이하쓰는 신차 안전성을 확인하는 충돌 시험을 실시하지 않고 부정한 데이터를 사용해 정부 인증을 취득한 문제와 관련해 추가로 부정이 발견되면서 이같이 결정했다.

관련기사



앞서 이 회사는 지난 4월 해외 판매용 승용차, 5월에는 일본 내 판매용 하이브리드차 등 총 6개 차종에서 부정하게 품질인증을 취득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 뒤 다이하쓰는 '제3자 위원회'를 구성해 추가적인 문제점을 조사해왔다. 조사 결과 1989년부터 충돌 시험 이외에도 배기가스와 연비 시험 등에서까지 모두 25개 항목에서 174건의 부정이 추가로 발견됐다.

해당 차량은 모두 64개 차종에 달한다. 여기에는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OEM) 방식으로 제조된 도요타의 '프로박스', '루미' 등 도요타의 22개 차종, 스바루 9개 차종, 마쓰다 2개 차종도 포함됐다. 블룸버그는 "지난해 또 다른 자회사인 히노 자동차 스캔들에 휘말렸던 도요타 자동차 뿐만 아니라 일본 자동차 산업 전반에 신뢰의 위기를 초래한다"고 지적했다.

제3자위원회는 이날 열린 기자회견에서 단기간 차량 개발을 추진하면서 강한 질책을 하는 등 조직 풍토의 문제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다이하쓰는 "기업 풍토의 근본적인 개혁에 임하겠다"고 사과 의사를 표명하고 이번 조사 결과를 국토교통성에도 보고했다. 이와 관련해 국토교통성은 21일부터 입회 조사에 나설 예정이다.

다이하쓰는 소형차 전문회사로, 2022년도에 전세계 공장에서 170만여 대를 생산했다. 이 가운데 절반가량은 일본 내에서 만들어졌으며 일본 시장 내 경차 점유율은 약 33%에 달했다. 도요타는 이 회사를 2016년 완전 자회사화해 소형차를 전담시키는 경영 전략을 펼쳐왔다. 도요타의 전세계 차량 판매량의 약 4%를 담당한다. 도요타는 "다이하쓰의 인증업무 상황을 파악하지 못했던 점에 대해 깊게 반성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