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국제단체들 "휴전부터 촉구하라"…유엔 '가자 결의' 규탄

적대행위 중단 촉구, 유엔 감시품 감시 등 美 거부에 빠져

"자유통행 불가능해 물자 못 줘"…구호단체 직원도 사망

지난 20일(현지시간) 가자지구 남부 라파에서 팔레스타인인들이 무료 음식을 받기 위해 줄을 서고 있다. 연합뉴스지난 20일(현지시간) 가자지구 남부 라파에서 팔레스타인인들이 무료 음식을 받기 위해 줄을 서고 있다. 연합뉴스




국제 단체들이 휴전 촉구 없는 지원은 의미가 없다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가 채택한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인도주의적 지원 확대 결의를 규탄하고 나섰다.



23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와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국경없는 의사회는 이날 성명을 내고 “안보리 결의는 가자지구 위기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즉각적이고 지속적인 휴전에 크게 못 미친다”며 “가자지구 민간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을 정도로 약해졌다”고 주장했다. 에브릴 베누아 국경없는 의사회 사무총장은 “이스라엘의 전쟁 방식은 팔레스타인 민간인들에게 막대한 죽음과 고통을 초래하고 있으며 국제 규범과 법률에도 어긋난다”고 말했다. 이 단체의 기유메트 토마 의료 조정관도 “우리가 주민에게 다가가려면 가자지구 안에서 움직일 수 있어야 한다”며 “지금 당장 우리는 인도적 지원을 배치할 수 없고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사람들은 언제든 폭격을 당하거나 사살당할 것이라는 두려움 없이 식량과 물을 얻을 수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스라엘군의 잦은 공습과 지상군 공격으로 자유로운 통행이 불가능해져서 구호 물자를 배급할 수도 없는 상황임을 우려한 것이다.

관련기사



줄리엣 투마 유엔 팔레스타인 난민구호기구(UNRWA) 대변인 역시 “공습으로 가득한 하늘 아래에서 인도적 지원 물자를 전달할 수 없다”며 “반입되는 지원의 양도 매우 적다”고 강조했다.

국제앰네스티도 유엔 결의안에 대해 “매우 필요한 것이지만 가자지구에서 이스라엘 정부가 진행하는 살육과 파괴 앞에서는 통탄할 정도로 불충분하다”고 평가했다. 아킴 슈타이너 유엔개발계획(UNDP) 사무총장은 성명을 통해 30년간 일한 베테랑 직원인 이삼 알 무그라비가 전날 가자시티 인근에서 공습으로 부인, 자녀 5명과 함께 숨졌다면서 구호 담당 직원들이 겪는 위험을 강조했다.

앞서 유엔 안보리는 전날 가자지구의 인도주의적 구호 지원 규모를 늘리자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안보리는 가자지구 전역의 팔레스타인 주민에게 즉각적이고 안전하며 방해받지 않는 대규모 인도주의적 지원을 허용하고 촉진할 것을 분쟁 당사자들에 요구했다. 당초 초안에 담겼던 적대 행위 중단 촉구와 유엔의 구호품 감시 권한 확보 내용은 이스라엘의 동맹국인 미국이 거부권 행사를 시사해 최종안에서 빠졌다.

현재 가자지구로 반입되는 인도적 지원 물자 양은 10월 초 전쟁 발발 직후보다는 조금 늘어났으나 수요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한 상태다. 전쟁 이전에는 하루 트럭 약 500대 분량의 구호 물자가 가자지구에 들어간 만큼 수요를 뒷받침하려면 최소한 하루 트럭 200대 분량은 들어가야 한다는 게 UNRWA의 입장이었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