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전력수급 상습 문제 지역, 내년부터 정밀 관리한다

◆한국형 계통 운영 체계 마련

15년 주기 거시·5년 미시 전망서

지역별 계통제약·품질 등 총망라

호남·제주부터 우선 도입 예고





내년부터 호남·제주 등 전력 공급 과잉 지역에서 전력수급 미스매칭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중장기 계통 운영 전망’이 시범 도입된다. 중장기 계통 운영 전망에는 전력수급과 관련한 전국 단위 거시 전망(15년)과 지역단위 미시 전망(5년 이내)을 비롯해 연도별·지역별 계통 제약, 전기 품질 등의 대책이 두루 포함된다. 정부는 호남·제주 등 계통 불안정 우려 지역부터 우선 도입한 뒤 전국 확대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전망된다.

25일 산업통상자원부·전력거래소 등에 따르면 정부는 내년에 이런 내용을 포함한 ‘한국형 계통 운영 체계’를 마련한다. 골자는 전력수급기본계획(장기 송·변전 설비 계획)에 따른 계통 운영 이슈를 선제적으로 분석·발굴해 해소 방안을 제시하는 중장기 계통 운영 전망을 도입하는 것이다.



전력 계통은 크게 발전·송변전·배전 계통으로 구성된다. 전기를 생산해 전달하고 소비자가 이를 사용하기까지 전 과정에 필요한 모든 전기설비, 즉 전력 계통을 통제·관리하는 게 계통 운영이다.

관련기사



그간 전력 계통은 전력 부족 대응을 중심으로 운영돼왔다. 그러다 보니 호남지역에 태양광발전 등 경직성 전원이 난립하면서 발생한 전력 과잉 대응에 한계를 드러냈다. 특히 단기 현안 위주의 계절별 계통 운영 방안만 부랴부랴 수립하는 수준에 그쳤다.

이에 정부는 국내 계통 여건 맞춤형 평가지표를 개발해 계통 리스크(취약성) 요인을 진단하고 계통 운영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전국 단위의 거시 전망과 지역단위 미시 전망은 물론 연도별·지역별 계통 제약 요인 등 중단기, 구체적 계획을 총망라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전력거래소의 1년짜리 단기 계통 운영 방안과 연계하는 한편 전기본 등 여타 국가 에너지 정책과도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신뢰를 높여나간다는 게 정부의 입장이다. 앞서 정동희 전력거래소 이사장도 “재생에너지 비중이 커져 계통 운영 절차와 체계를 혁신하고 시장 개편 작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정부는 봄·가을철 계통 운영 방안도 주기적으로 수립한다는 방침이다. 산업부는 올봄 처음으로 육지 태양광발전 출력제어 중심의 계통 안정화 특별 대책을 세운 데 이어 올가을 적용 대상을 전체 비중앙발전으로 확대한 바 있다. 내년에는 산업부 고시인 ‘전력 계통 신뢰도 및 전기 품질 유지 기준’을 개정해 제도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공동기획:산업통상자원부


세종=유현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