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韓 첫날부터 시험대…이준석 안고 갈까

與 비대위원장 26일 공식 임명

李 '27일 탈당' 예고 대응 첫과제

'쌍특검법'에 조건부 수용 여지

당 내부·대통령실 동의 미지수

비대위원 인선은 29일 마무리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추대된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21일 이임식을 마친 후 청사를 떠나고 있다. 이호재 기자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추대된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21일 이임식을 마친 후 청사를 떠나고 있다. 이호재 기자




여당의 내년 총선 캠페인을 지휘할 ‘한동훈 비상대책위원회’가 이번 주 출범한다. 사령탑에 오르는 한동훈 전 법무부 장관은 비대위원장에 취임하자마자 ‘이준석 신당’ ‘쌍특검법 처리’ ‘비대위원 인선’ 등의 3대 현안을 풀어야 하는 시험대에 서게 된다.



국민의힘은 26일 당 전국위원회 의결을 통해 한 지명자를 비대위원장에 공식 임명한다. 당 관계자들은 한 지명자가 당의 쇄신을 이끌어 총선 승리의 동력을 확보할 것으로 보고 있다. 김병민 최고위원도 25일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한 지명자가) 수도권 등지의 판세를 바꿔줄 수 있는 적임자”라고 평가했다.

한 지명자의 첫 번째 과제는 이준석 전 대표의 탈당·신당 움직임에 대한 대응이다. 이 전 대표는 27일을 탈당 시한으로 예고해왔다. 이 전 대표에 대한 한 지명자의 대응에 따라 향후 ‘한동훈 비대위’의 방향성이 판가름 날 것으로 보인다. 이 전 대표를 포용하면 중도층의 지지율을 높일 수 있다는 전망이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다만 국민의힘 내 상당수는 이 전 대표가 이미 과도한 막말과 해당 행위로 갈등을 초래한 만큼 포용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 지명자로서는 당내 분란을 일으켜온 이 전 대표를 억지로 껴안기보다는 스스로 혁신 드라이브를 걸어 당 쇄신론을 설파해온 이 전 대표의 차별성을 희석시키는 게 더 나은 선택일 수 있다는 분석도 당 안팎에서 제기된다.




‘쌍특검법(대장동 50억 클럽·김건희 여사 주가조작 의혹 특검)’을 둘러싼 여야 대치 해소도 한동훈 비대위가 직면하게 될 현안이다. 더불어민주당이 28일 쌍특검법을 강행 처리하겠다고 으름장을 놓고 있기 때문이다. 한 지명자는 앞서 쌍특검법에 대해 “법 앞에 예외는 없다”면서도 “다음 총선에서 민주당이 원하는 선전·선동을 하기 좋게 시점을 특정해서 만들어진 악법”이라고 규정한 상태다. 이를 볼 때 한 지명자가 향후 야당의 태도에 따라 ‘독소 조항 제거’ 및 ‘총선 후 특검 추진’ 등으로 쌍특검법을 조건부 수용할 여지는 있다.

관련기사



다만 이 같은 ‘조건부 쌍특검법 처리’를 야당이 수용하더라도 대통령실과 여당의 동의가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그동안 정부 여당이 쌍특검에 대해 강경한 반대 입장을 보여왔기 때문이다. 전주혜 국민의힘 원내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쌍특검법을 “총선용 정쟁 특검”이라 규정하며 “위헌적·위법적인 특검법에 절대 타협하지 않고 묵묵히 법치를 지켜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와 대통령실·국민의힘은 이날 비공개 고위 당정 협의회를 열고 조건부 수용안도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데 뜻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협의회에는 한덕수 국무총리와 윤재옥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 등이 참석한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 역시도 현재까지는 강경한 입장이다. 쌍특검법의 연내 본회의 강행 처리 의지를 강조하고 있다. 박성준 민주당 대변인은 ‘총선 후 특검 추진’이라는 조건부 수용 여부를 묻는 질문에 “일고의 가치가 없다”고 일축했다.

이런 가운데 한 지명자는 29일 비대위원 인선을 마무리하고 비대위를 공식 출범할 것으로 알려졌다. 비대위원 인선에는 ‘789세대(1970~1990년대생)’를 앞세워 586 운동권 세력 중심인 민주당과 차별성을 확보할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수도권·여성·중도층을 겨냥한 인사가 고려 대상이다. 한 국민의힘 관계자는 “비대위원 인선에서 모든 것이 결정될 것”이라며 “단순히 여성·청년 등의 키워드가 아닌 경험과 자격을 갖춘 분이 와야 한다”고 전했다.


김예솔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