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떨어지는 예금금리…지방銀·인뱅도 3%대

대구·경남銀 기본금리 0.2%P 내려

카카오·케이뱅크도 일제히 조정

내년 주담대 인하 기대감도 확산


은행권의 수신 금리가 연 3% 중후반대까지 떨어진 가운데 4%대를 유지하던 지방은행과 인터넷전문은행마저 수신 금리를 인하하고 있다. 금융 당국의 수신 경쟁 자제령 속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더해진 영향으로 보인다. 수신 금리가 하락하면서 향후 대출금리 역시 내려갈 수 있다는 기대감도 나오고 있다.








25일 은행 업계에 따르면 DGB대구은행이 21일 주요 수신 상품의 금리를 일제히 인하했다. 만기 1년 기준 DGB함께예금의 기본 금리를 3.8%에서 3.6%로 내렸고 DGB주거래 우대 예금은 3.6%에서 3.4%로, IM스마트예금은 3.95%에서 3.75%로 각각 인하했다. 각 상품의 우대 금리를 적용했을 때 최고 금리는 모두 4.05%로, 이달 초 해당 상품들의 최고 금리가 4.25%였던 것과 비교하면 0.2%포인트 떨어졌다.



BNK경남은행도 이달 20일 만기 1년 기준 BNK더조은 정기예금의 기본 금리를 3.15%에서 2.95%로 내리면서 최고 금리가 3.45%로 나타났다. 올해는 예금(시즌3)의 기본 금리는 3.15%에서 2.95%로 0.2%포인트가량 떨어졌다.

관련기사



전북은행은 19일부터 만기 1년 기준 JB123 정기예금의 기본 금리를 3.85%에서 3.75%로 0.1%포인트 인하했다. 우대금리 최대 적용 시 받을 수 있는 최고 금리는 4.05%가 됐다. 이는 이달 초 최고 금리 4.37%였던 것과 비교하면 0.32%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전북은행은 JB다이렉트 예금의 기본 금리도 4.0%에서 3.9%로 내렸다.

인터넷은행들도 수신 금리 인하에 나섰다. 카카오뱅크는 20일부터 카카오뱅크 정기예금의 만기 1~3년에 대한 예금금리를 4.0%에서 3.85%로 0.15%포인트 내렸다. 케이뱅크도 19일 대표 수신 상품인 ‘코드K 정기예금’의 수신 금리를 만기별로 일제히 내렸다. 1개월과 3개월, 6개월과 1년 상품을 모두 0.01%포인트씩 인하해 각각 3.1%, 3.7%, 3.9%, 3.9%가 됐다.

일찌감치 수신 금리를 내린 시중은행은 최근 추가 인하까지 나선 모습이다. 일례로 우리은행의 경우 이달 11일 우리 첫거래우대 정기예금 상품의 만기 1년 기준 기본 금리를 3.3%에서 3.2%로 하향한 후 22일 3.0%로 0.2%포인트 추가 인하했다. Sh수협은행은 20일부터 헤이(Hey)정기예금의 만기 1년 기준 기본 금리를 4.2%에서 4.0%로 0.2%포인트 내렸다. Sh첫만남우대예금도 만기 1년 기준 기본 금리를 3.3%에서 3.2%로 0.1%포인트 인하했다.

수신 금리가 일제히 내려가면서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떨어질 수 있다는 기대감이 나타나고 있다. 주담대 변동 금리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가 지난달 기준 연중 최고치인 4.00%를 기록하기는 했지만 이달 들어 수신 금리가 하락하면서 향후 낮아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코픽스는 시차를 두고 시장 상황을 반영하는 만큼 수신 금리가 하락하면서 내년에는 대출금리도 점차 떨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백주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