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정책

“미, 장기채 ETF 장기간 발묶일 수도”

금감원, “투자손실 커질 가능성”

금융감독원. 연합뉴스.금융감독원. 연합뉴스.





개인 투자자들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를 기대하고 관련 상장지수펀드(ETF) 투자를 크게 늘리면서 금융당국이 투자에 유의하라고 경고했다.

관련기사



금융감독원은 25일 ‘미 장기국채 ETF 등 해외 상장 ETF 투자 시 유의 사항’ 자료를 내고 “레버리지 ETF 등은 시장 움직임에 따라 가격·투자 손익이 큰 폭으로 변동할 수 있는 초고위험 상품”이라며 주의를 촉구했다.

실제 올 들어 1월부터 11월까지 전체 해외증권 중 만기 20년 이상 미국 국채에 투자하는 3배 레버리지 ETF가 순매수 금액 기준 1위(약 11억 달러)를 기록했다. 그러나 금감원은 기준금리가 특정 방향으로 움직일 것으로 예측할 경우 투자 손실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금감원은 “향후 기준금리가 낮아질 것으로 전망될 때도 예상보다 금리 변동이 천천히 이뤄지게 되면 투자자금이 장기간 묶일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또 미국 시장은 국내 증시와 달리 가격 제한 폭이 없어 다양한 시장 변수에 의해 가격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레버리지·인버스 ETF는 복리 효과로 장기 투자에 적합하지 않고 환율 변동 위험, 국내와 다른 과세 체계 등도 확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금감원은 “국내 상장 레버리지 ETF와 달리 투자 시 진입규제가 없어 투자위험에 대한 충분한 이해한 후 신중히 투자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충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