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은행 '돈 잔치' 비판에…특별퇴직금 확 줄였다

KB국민·우리, 희망퇴직 접수

최대 36개월치서 31개월로 축소





주요 시중은행들이 연말 희망퇴직 절차를 개시한 가운데 지난해보다 조건이 크게 후퇴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2024년부터 임금피크제에 들어가는 1968년생과 2025년 이후 임금피크제 예정인 1969~1972년생을 대상으로 내년 1월 3일까지 희망퇴직 접수를 받는다. 특별퇴직금 규모는 월평균 임금의 최소 18개월치부터 31개월치다. 지난해(23~35개월치)보다 크게 줄어든 수준이다.

관련기사



우리은행도 내년 1월 9일까지 희망퇴직을 접수한다. 신청 대상자는 10년 이상 근속자로 1978년생부터다. 특별퇴직금 규모는 지난해 최대 36개월치에서 올해는 24~31개월치로 줄어들었다.

앞서 희망퇴직 계획을 밝힌 하나은행과 신한은행도 퇴직금 규모를 대폭 줄였다. 하나은행은 1968~1971년생 중 관리자급에게는 최대 30개월치를, 1972년생 이후에게는 최대 24개월치를 지급한다. 신한은행은 올해 두 번째 희망퇴직 신청을 20일까지 받았다. 8월 9~36개월치를 지급했는데 이번에는 7~31개월치를 지급한다.

최근 금융 당국과 정치권을 중심으로 은행권을 향한 ‘돈 잔치’ 비판이 제기되면서 규모를 줄인 것으로 풀이된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은행권을 바라보는 시선이 곱지 않은 만큼 예년처럼 좋은 조건을 도출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한동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