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KT 이어 포스코…'같은 듯 다른' 국민연금 CEO 선출 개입 [biz-FOCUS]

◆최정우 회장 3연임 안갯속

崔, 이사회 측근으로 참호 구성

KT때처럼 국민연금이 직접 제동

포스코 소액주주 지분 76% 달해

이르면 내년 3월 표대결 가능성도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




국민연금이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의 3연임에 사실상 제동을 걸면서 제2의 KT 사태가 벌어지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국민연금은 지난해 말 당시 구현모 KT 대표가 연임을 시도하자 이례적으로 보도 자료를 통해 “경선 절차에 문제가 있다”며 반대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후 구 전 대표는 물론 그의 측근으로 통했던 윤경림 KT 당시 사장이 잇달아 낙마했다.



재계에서는 “포스코나 KT처럼 주인 없는 회사에서 최고경영자(CEO)들이 이사회를 측근으로 구성해 일종의 참호를 구축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의견과 “CEO 결정 과정에 정부가 입김을 행사하는 전례가 더 이상 반복돼서는 안 된다”는 견해가 동시에 나오고 있다.




◇이사진 측근으로 구성…KT와 판박이=김태현 국민연금 이사장은 28일 서울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포스코홀딩스의 CEO 후보추천위원회 구성은 공정하지 않다”며 회장 추천에 국민연금이 개입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했다.

관련기사



포스코홀딩스 이사회는 최근 현직 회장에 대한 연임 여부를 우선 심사하도록 한 규정을 폐지한 뒤 CEO 후추위를 새로 출범시켰다. 현직 회장의 연임 의사 표명 여부와 관계없이 임기 만료 3개월 전에 회장 선임 절차가 시작되는 구조다. 최 회장이 명시적으로 연임 의사를 밝히지 않아도 링 위에 올려 후보군으로 만든 셈이다.

KT 회장 선임 과정도 이사회가 구 전 대표를 사실상 옹립하는 역할을 맡았다. 윤석열 대통령까지 나서 소유분산기업 지배구조 개선에 대한 문제 제기를 했고 결국 올 2월 구 전 대표는 사퇴했다.

후추위를 구성하는 사외이사진도 사실상 최 회장 친정 체제로 평가된다. 7명 모두 최 회장이 취임하고 나서 합류했고 이사회 6년간 150건 안팎의 안건을 모두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올해 선임된 김준기 연세대 법학전문대학 교수를 제외하면 나머지 사외이사들은 2020년 말 최 회장의 연임 도전에 차기 회장 후보로 단독 추천하는 안건을 전원 찬성으로 통과시키기도 했다.

◇국민연금이 총대…崔 3연임 불가 시그널=국민연금이 KT 때처럼 차기 회장의 선임을 앞두고 제동을 걸면서 최 회장의 3연임 부담은 커지고 있다. 재계에서는 국민연금의 메시지를 정부 차원의 ‘최정우 3연임 반대’로 해석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 시절 취임한 최 회장은 윤 대통령 취임 이후 해외 순방 경제사절단에서 제외되는 등 정권과 어색한 사이를 유지해왔다. 김 이사장도 직접 ‘KT 사례’를 거론하며 압박을 더했다. 양측 간의 갈등이 심화될 경우 포스코그룹 차원에서 회장 선임 절차의 일부 개선에 나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소액주주 75%…3월 표 대결 가능성도=포스코가 국민연금의 제동에도 기존의 회장 선임 절차를 강행한다면 내년 3월 대표이사 선임을 의결하는 주주총회에서 공개적으로 맞붙을 가능성이 크다. 국민연금은 후추위와 포스코홀딩스 이사회가 최종 선임하는 후보 1인에 대한 찬반 의사를 밝히며 비토권을 행사할 수 있다. KT 이사회가 지난해 말 구현모 당시 대표를 차기 대표 최종 후보자로 선정할 당시에도 국민연금이 반대 의사를 밝혔고 구 전 대표의 연임 결정은 백지화됐다.

다만 국민연금의 포스코 보유 지분율이 6.7%에 그치고 있는 점은 변수다. 포스코의 소액주주 지분율은 75.5%에 달하기 때문에 향후 사태 전개 과정에서 글래스루이스나 ISS와 같은 글로벌 의결권 자문기관들의 선택이 변수를 만들어낼 수도 있다. 재계의 한 고위 관계자는 “최 회장이 3연임을 해야 하는 비전과 청사진을 내놓을 수 있느냐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호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