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2조원+α’ 민생금융 시작…은행별로 내놓은 지원방안은?

지난 21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은행권 민생금융지원 간담회에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앞줄 왼쪽 다섯번째부터), 조용병 전국은행연합회장, 김주현 금융위원장을 비롯한 20여 개 은행장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연합뉴스지난 21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은행권 민생금융지원 간담회에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앞줄 왼쪽 다섯번째부터), 조용병 전국은행연합회장, 김주현 금융위원장을 비롯한 20여 개 은행장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정부의 ‘이자장사’, ‘종노릇’ 비판 속 은행권이 공동으로 ‘2조원+α’ 규모의 민생금융 지원 방안을 내놓은 가운데 은행별로 상생 금융 집행에 속도를 내고 있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앞서 은행연합회가 발표한 ‘은행권 민생금융 지원방안’에 동참하는 은행들의 분담금 규모와 자율프로그램들이 속속 가시화하고 있다. 국내 18개 은행이 참여하는 은행권 민생금융 지원방안은 지난 21일 은행권 공동으로 발표한 2조 원 규모의 지원 프로그램이다. 은행권 전체가 참여하는 1조 6000억 원 규모 개인사업자 이자환급인 ‘공통 프로그램’과 은행별로 취약계층을 지원하는 4000억 원 규모의 ‘자율 프로그램’으로 구성돼 있다.



우선 우리은행은 공통프로그램인 개인사업자 이자 캐시백에 1885억 원을 지원한다. 지원 대상은 이달 20일 기준 우리은행에 개인사업자대출(부동산임대업 제외)을 보유한 고객 약 20만 명이다. 금리 4.0% 초과분의 90% 범위 내에서 1년간 기납부 또는 납부예정인 대출이자(대출기간 1년 미만인 경우 2024년 납부 예정이자 포함)를 캐시백 지원한다. 차주당 대출금 한도는 2억 원이고, 최대 캐시백 한도는 300만 원이다.

관련기사



우리은행은 873억 원 규모의 자율프로그램 방안도 내놓았다. 주요 지원대상은 청년, 자영업자, 서민 등 금융취약계층이다. 특히 530억 원 규모로 보증기관 등의 출연 확대를 통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 원활한 정책자금 공급을 뒷받침한다는 계획이다. 학자금대출 이자 캐시백도 233억 원 가량 진행한다. 또 우리은행에 한국장학재단 학자금대출을 보유한 고객을 대상으로 이자 납부금액의 최대 50%까지 이자를 돌려줄 예정이다.

NH농협은행도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을 위해 2148억 원 규모의 민생 금융 지원 방안을 마련했다. 대출금 2억 원을 한도로 4%를 초과하는 금리에 대해 1년간 이자 납부액의 최대 90%를 캐시백할 예정이다. 지원 대상은 이달 20일 기준 농협은행에 개인사업자 대출을 보유한 차주(부동산 임대업자 제외)이며, 이번 지원을 통해 약 32만 명의 차주가 혜택을 볼 것으로 예상된다.

BNK금융그룹의 부산은행과 경남은행도 각각 525억 원과 307억 원, 총 832억 원의 금융 지원에 나선다. 공통 프로그램인 개인사업자 대출 이자 캐시백을 내년 2월부터 추진하고, 자율 프로그램은 이자환급 이외 소상공인 및 취약계층 지원, 보증기관 출연 등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DGB대구은행도 약 7만 5000명의 개인사업자를 대상으로 개별 적용된 대출 조건 등을 검토한 후 환급 대상 차주와 금액을 확정해 이자 캐시백을 실시한다. 소상공인 및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자율 프로그램도 준비 중으로, 보증기관 출연 확대를 통한 대출지원 및 금리감면 확대, 중저신용자 중도상환수수료 감면, 청년CEO 맞춤형 상품 출시를 통한 소상공인 금융지원과 맞춤형 경영컨설팅, 역량강화 교육지원 등 비금융지원을 확대 시행할 예정이다.

한편 민생금융 지원방안과 함께 은행권에서는 연말 조직 개편을 ‘상생’에 초점 맞춘 모습이다. 4대 금융 지주 중 우리은행을 제외한 3곳이 상생금융 조직을 신설하거나 강화했다. KB금융이 기존 사회공헌 활동을 담당하던 ESG본부를 ESG상생본부로 확대 개편했고, 신한은행은 기존 상생금융 기획실과 사회공헌부를 통합한 상생금융부를 신설했다. 하나은행도 그룹 내 ESG부문 산하에 상생금융지원 전담팀을 신설했다. 우리은행은 앞서 올해 3월 그룹 내 상생금융부를 신설했고, 최근 상생금융TFT를 발족한 바 있다.


백주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