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금융당국 수장들 "PF 등 리스크 관리 집중해달라"

◆범금융 신년 인사회

최상목·이창용·이복현 등 한자리

취약계층 지원 '상생금융'도 강조

3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2024 범금융 신년인사회’에서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3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2024 범금융 신년인사회’에서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새해를 맞이해 한자리에 모인 금융 당국 수장들이 최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우려 등 위기 대응과 건전성 관리에 만전을 다해줄 것을 금융권에 당부했다. 또 취약 계층을 위한 상생 금융 지원에도 적극적으로 나서달라고 주문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2024년 범금융 신년인사회’에 참석해 “혁신과 연대는 리스크 관리가 전제돼야 한다”며 “최근 부동산 PF를 둘러싼 우려와 관련해 지금까지 금융회사들의 영업 방식과 재무 관리 등에 대해 다시 한번 숙고하고 보완해달라”고 강조했다. 또 “손실 흡수 능력 강화를 위한 충당금 확충과 올해부터 시행하는 경기대응완충자본 적립 등 건전성 관리에도 만전을 기해달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긴축 기조가 지속되는 과정에서 촉발될 수 있는 금융 불안 가능성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며 “일부 위험신호가 감지되고 있는 부동산 PF의 경우 질서 있는 정리 과정에서 한국은행도 정부·금융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금융 안정을 달성하는 데 힘을 보태겠다”고 언급했다.

김주현 금융위원장도 “양극화·고금리 등의 난관을 헤쳐나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서민 등 취약 계층이 무너지지 않도록 함께 힘써 사회적 연대감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며 “부동산 PF, 제2금융권 건전성, 가계부채 등의 정상화 및 안정화에 만전을 기하면서 우리 금융의 건전성과 복원력을 높여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역시 “갑진년 새해에는 책임 경영 관행을 확고하게 정착시켜 오랜 시간 쌓아온 소비자의 신뢰가 허무하게 무너지는 일이 없도록 전사적으로 노력해야 한다”며 “리스크 대응 체계를 고도화하고 손실 흡수 능력을 충분히 확보해 어떠한 상황에서도 금융 안정이 실현되도록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금융권의 상생 금융 확대도 주문했다. 최 경제부총리는 지난달 은행권이 발표한 2조 원 규모의 상생 금융 지원 방안에 대해 “이른 시일 내 체감도 높게 실행되기 바란다”면서 “제2금융권 소상공인 고금리 대출에 대해서는 정부가 재정 3000억 원을 투입해 이자 환급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했다.


신한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