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이준석 “공영방송 사장 임명동의제·수신료 폐지”…신당 1호 정책 내놨다

“10년 이상 방송경력 의무화로 낙하산 임명 원천 봉쇄”

“KBS·EBS 수신료 폐지·외부진행자는 내부인력 대체”

가칭 '개혁신당' 창당을 선언한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가 6일 대구 수성구 그랜드호텔에서 열린 조대원 작가의 북콘서트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가칭 '개혁신당' 창당을 선언한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가 6일 대구 수성구 그랜드호텔에서 열린 조대원 작가의 북콘서트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준석 개혁신당(가칭) 정강정책위원장이 8일 신당의 1호 정책으로 ‘공영방송 사장 임명동의제’와 ‘KBS 수신료 폐지’ 등을 내놨다.



이 위원장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개혁신당은 22대 총선 이후 공영방송인 KBS, MBC, EBS 사장을 선임할 때 사장 임명동의제를 시행하도록 방송법 개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그는 “사장 선임에 대한 거부권은 대통령, 여야 정당의 것도 아닌 방송 노동자들의 것이어야 정당성이 있다”며 “공영방송 사장에게 10년 이상 방송 경력을 강제하도록 해 직무 경험이 전무한 낙하산 사장 임명을 원천 봉쇄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위원장은 이어 “KBS와 EBS의 수신료를 폐지하고 관련 재원은 수신료 총액에 상응하는 조세 지원과 재송신료 조정을 통해 대체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KBS가 조세 지원을 받게 되면 보도 편향성 논란의 핵심이었던 외부 진행자들을 능력 있고 장래성 있는 내부 인력으로 전원 대체할 것을 요구하겠다”고 주장했다.

이 위원장은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에 비해 기존 방송사업자에게 부과된 불합리한 규제를 대폭 완화하고 방송사에 적용되는 여러 광고 형태에 대한 규제도 걷어내겠다고 약속했다.


김현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