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한은 "미혼男 늘수록 노동 공급 감소"

노동공급 장기추세 보고서

"맞춤형 일자리 창출해야"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설치된 일자리 정보 게시판의 모습. 연합뉴스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설치된 일자리 정보 게시판의 모습. 연합뉴스





우리나라 미혼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는 가운데 미혼 남성이 늘어날수록 노동 공급을 줄인다는 분석이 나왔다. 노동 공급을 늘리기 위해 혼인율을 높이는 동시에 미혼 인구 맞춤형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8일 한국은행 조사국이 발표한 ‘미혼 인구 증가와 노동 공급 장기 추세’에 따르면 2013~2023년 평균 핵심연령층(35~54세) 기혼 남성은 경제활동 참가율과 고용률이 미혼 대비 각각 13%포인트, 16%포인트 높고 실업률은 4%포인트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혼인율 하락으로 남성 미혼 인구 비중이 늘어나면 경제 전체의 노동 공급 총량이 줄어드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셈이다.

관련기사



여성 미혼 인구 증가는 이와 달리 노동 공급 총량을 늘리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기혼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과 고용률은 미혼 대비 각각 19%포인트, 16%포인트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혼 여성이 육아 등으로 인해 전업주부가 되는 비율이 여전히 높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정선영 한은 조사국 과장은 “남성은 부양가족 없이 가계를 책임져야 한다는 의무감이 사라지는 등 가치관이 변하면서 노동 공급이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만혼과 비혼화가 진행되면서 전 연령층에서 미혼 인구 비중이 빠르게 높아지는 추세다. 지난 20년 동안 핵심연령층의 미혼 인구 비중은 2000년 7.4%에서 2020년 24.6%로 17.2%포인트 증가하면서 전체 인구의 미혼율을 끌어올렸다. 생애 미혼율 역시 2013년 약 5%에서 2023년 14%로 높아졌다.

연구진은 혼인율을 높이는 것이 안정적인 노동 공급 확보를 위해서도 중요하다고 평가했다. 또 미혼의 노동시장 참여를 높이는 적응 정책도 병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 과장은 “결혼과 출산이 상호 긴밀하게 연결된 만큼 혼인율과 출산율 제고 정책은 동일 선상에서 함께 다룰 필요가 있다”고 했다.


조지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