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美 수입국 1위, 멕시코로 교체 [Global What - G2 신냉전 나비효과]

■ 美서 입지 좁아진 중국산

바이든정부 '反中정책' 직격탄

中, 17년만에 정상자리 뺏길듯

"중국산 수입 감소세 장기화될 것"

연합뉴스연합뉴스




미국의 상품 수입국 순위에서 중국이 17년 만에 1위 자리를 빼앗길 것으로 보인다. 신냉전에 따른 미중 경제 단절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9일(현지 시간) 미 상무부가 발표한 11월 무역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미국은 약 3931억 달러어치의 중국산 제품을 수입했다. 이는 전년보다 21.2% 급감한 수치다. 전체 수입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도 13.9%로 2004년 이후 최저를 기록했다. 반면 같은 기간 미국은 약 4390억 달러어치의 멕시코 제품을 들여왔다. 이는 전년보다 4.8% 늘어난 것으로,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5.5%를 나타냈다. 이로써 미국의 상품 수입국 순위에서 중국은 2006년 이후 처음으로 멕시코에 1위 자리를 내줄 가능성이 커졌다.



이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신냉전 구도가 형성되며 미중 사이가 멀어진 결과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는 우호국과 공급망을 구축하는 ‘프렌드쇼어링’,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는 ‘디리스킹(위험 제거)’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3700억 달러에 달하는 중국산 제품에 부과한 관세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기업들이 중국 외 지역에 생산 거점을 추가하는 ‘차이나 플러스 원’ 전략을 채택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관련기사





세부적으로 전자제품 등 중국 의존도가 높았던 품목의 중국산 수입이 감소하고 인도 등 다른 나라들이 대체 수입국으로 떠올랐다. 중국산 스마트폰 수입액은 전년 대비 10% 감소했지만 인도산 스마트폰 수입은 5배나 불어났다. 노트북 역시 중국산은 30% 급감했지만 베트남산은 4배나 증가했다. 다만 중국을 대체하기 힘든 품목의 경우 미국은 여전히 높은 대중 의존도를 보였다. 전기차 배터리에 필수적인 리튬이온 전지의 대중 수입 의존도는 70%에 달했다.

전문가들은 미국의 중국산 제품 수입이 계속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 미 싱크탱크인 애틀랜틱카운슬의 닐스 그레이엄은 “‘차이나 플러스 원’ 전략이 미국의 수입 통계에 본격적인 영향을 미치는 데는 몇 년이 걸릴 것”이라며 장기적으로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여기에 바이든 행정부는 중국산 전기차, 범용 반도체 등에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어 이것이 현실화한다면 중국산 수입은 더 쪼그라들 것으로 관측된다. 11월 미국 대선을 앞두고 민주·공화 양당으로부터 중국 때리기가 계속될 것이라는 점도 미국의 중국산 제품 수입이 줄어들 것으로 보는 이유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