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헬스

건강하게 라면 먹는 방법?…모델 한혜진, 어떻게 끓이나 봤더니 [셀럽의 헬스]

유튜브 채널 영상 캡처유튜브 채널 영상 캡처




모델 한혜진(40)이 건강하게 라면을 먹는 방법을 공개했다.



지난 14일 한씨는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풍자가 시킨 굴 먹방. 덕분에 먹방 적성 찾았습니다’라는 제목으로 영상을 올렸다.

이 자리에서 그는 “라면은 1년에 3번만 먹는다”라고 밝혀 시선을 모았다. ‘라면 한 봉지는 다 먹느냐’는 제작진의 질문에 한씨는 “당연히 다 먹는다. 한 봉지는 솔직히 조금 모자라다”고 대답했다. 그러나 ‘밥을 말아 먹냐’고 묻자 그는 “아니. 미쳤냐”라고 핀잔을 주며 분말수프를 반만 넣어 먹는 모습을 보였다.



제공=식품의약품안전처제공=식품의약품안전처


한씨가 보여준 것처럼 라면 수프를 조금만 넣어 먹는 것은 그나마 건강에 도움이 된다. 라면은 나트륨이 많은 대표적인 식품인데 수프의 양을 줄이면 나트륨도 줄어들기 때문이다. 라면 1개의 나트륨 양은 최대 1800㎎을 넘어선다. 라면 한 봉지만으로 세계보건기구(WHO)의 하루 나트륨 섭취 권고량은 2000㎎에 근접하는 것이다. 라면의 나트륨 함량은 대체로 분말수프에서 결정되기 때문에 이를 조절해 먹으면 그만큼 나트륨을 덜 섭취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참고값으로 제시한 식품 속 나트륨을 보면 육개장 2900㎎, 우동 2400㎎, 김치찌개 2000㎎, 라면 1800㎎, 갈비탕 1700㎎ 등으로 나타났다. 해당 수치는 조리 방법, 재료, 음식량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분말수프를 적게 넣은 만큼 맛이 싱겁다고 느낄 수밖에 없다. 이럴 땐 청양고추나 참기름, 올리브오일 등을 기호에 맞게 첨가해 다채로운 맛을 내는 것도 방법이다.

칼륨 함량이 높은 채소를 곁들여 넣으면 나트륨 배출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도 있다. 당근, 호박 등이 있다. 특히 양배추는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해 라면에 부족한 영양소를 채워줄 수도 있다. 양파의 퀘르세틴 성분도 나쁜 콜레스테롤을 녹여준다.

제공=식품의약품안전처제공=식품의약품안전처



식이섬유가 풍부한 해조류도 장내에서 수분과 함께 흡수되지 않은 나트륨을 내보낸다. 다시마 속 알긴산 성분은 나트륨 배출과 함께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데 효과가 있다.

관련기사



조리법으로도 나트륨 함량을 줄일 수 있다. 라면의 면을 먼저 끓여 건진 뒤 국물을 따로 끓여 먹는 ‘면 세척 조리법’이 그것이다. 이를 통해 나트륨 함량이 최대 27%까지 낮아졌다는 세명대 바이오식품산업학부의 연구 결과도 있다. 한씨의 방법처럼 분말수프를 줄이는 것과 라면 국물에 밥을 말아 먹지 않는 것도 나트륨 섭취를 크게 줄이는 것이다.

이밖에도 라면을 먹은 뒤 토마토·바나나처럼 칼륨이 풍부한 식품을 섭취하면 체내 나트륨이 배출을 도울 수 있다.

나트륨의 과도한 섭취는 우리 몸 곳곳의 건강을 해친다. 지난 9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나트륨은 필요 이상 섭취할 경우 뇌졸중, 고혈압, 위장병, 골다공증 등을 일으킬 수 있다고 밝혔다.

체내 혈중 나트륨 농도가 높으면 삼투압 현상이 발생해 세포 수분이 혈액으로 빠져나와 혈액량이 증가한다. 혈액량이 증가하면 혈관이 받는 압력이 커져 고혈압이 나타난다. 고혈압이 지속되면 뇌졸중 위험도 커진다.

제공=식품의약품안전처제공=식품의약품안전처


과도한 나트륨 섭취는 뼈 건강도 위협한다. 나트륨을 많이 먹으면 소변으로 칼슘 배설이 증가하면서 체내 칼슘이 부족해진다. 부족한 칼슘 농도를 보충하기 위해 뼈에서 칼슘이 배출돼 골감소증이나 골다공증의 위험이 커진다.

나트륨을 많이 섭취하면 만성 위염이나 위암의 위험성도 높아진다. 짠 음식이 위 점막을 자극하면 위축성위염과 같은 만성 위염이 발생하는데 계속 짠 음식을 섭취할 경우 위암으로 악화할 수 있다.

나트륨 섭취를 줄이려면 식품을 구매할 때 기재된 영양 정보를 확인해 나트륨이 적은 식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또 소금 대신 천연향신료를 사용하거나 국·탕·찌개 속 국물을 적게 먹는 것이 좋다.

식약처는 “신선한 채소와 우유를 충분히 섭취하고 외식할 때는 ‘싱겁게’와 ‘소스를 따로 달라’고 주문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김태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