즉석밥과 냉동 김밥, 떡볶이 등 K-푸드가 글로벌 시장에서 커다란 인기를 끌면서 지난해 쌀 가공식품 수출액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쌀 수출이 이처럼 급증한 것은 K콘텐츠에서 김밥, 떡볶이 등을 먹는 모습이 노출되면서 K푸드가 세계인들에게 익숙해진 데다 ‘건강식’이면서도 간편하게 조리해서 먹을 수 있는 식품이라는 인식이 확산됐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29일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등에 따르면 지난해 쌀 가공식품 수출액은 2억1723만9000달러(약 2900억원)로 처음으로 2억달러를 넘었다.
이는 전년(1억8182만1000달러)보다 19.5% 증가한 것이다.
연간 쌀 가공식품 수출액은 2015년 이후 매년 증가세를 보였다.
2015년 5434만2000달러에서 2016년 6652만9000달러, 2017년 7202만8000달러, 2018년 8940만8000달러 등으로 증가세를 보이다가 2019년 1억858만9천달러로 처음 1억 달러를 넘었다. 이듬해인 2020년 1억3804만9000달러, 2021년 1억6401만달러, 2022년 1억8182만1천달러에 이어 지난해 2억1723만9000달러로 처음 2억달러를 돌파했다.
지난해 수출액을 수출국별로 보면 미국이 1억1480만1천달러(52.8%)로 전체의 절반을 넘었다.
이어 베트남(1499만달러), 유럽연합(영국 포함·1489만3000달러), 일본(1258만3000달러), 호주(713만5000달러) 등의 순이었다.
해외에서 우리 쌀 가공식품 수요가 늘어난 데는 간편식, 건강식에 대한 관심이 커진 것이 주요인으로 꼽힌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국내 쌀 가공식품 인기 요인은 다양하다"며 "전자레인지 조리 등으로 쉽고 간단하게 즐길 수 있는 양질의 제품이 많아진 것이 한 요인이고, 한국 음식이 '건강식'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또 각국에서 K-콘텐츠의 인기에 따라 한국 음식을 찾는 소비자가 증가한 것도 한몫했다는 시각도 있다. 문정훈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교수는 "해외에서 K-드라마, K-팝 등으로 한국 식문화에 관심을 갖게 되며 처음에는 호기심으로 한국 음식을 접했다가 이제는 익숙해져 섭취 횟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