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미국에서 ‘스탠리 텀블러’ 납 성분 함유 논란

틱톡 등 영상에서 테스트 결과 납 성분 검출 주장 제기

스탠리 측 “바닥 밀폐재료에 납 포함…소비자 건강에 문제없어”

25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샌 라파엘에 있는 한 사무용품 매장 선반에 스탠리 텀블러가 진열돼 있다. AFP연합뉴스25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샌 라파엘에 있는 한 사무용품 매장 선반에 스탠리 텀블러가 진열돼 있다. AFP연합뉴스




미국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텀블러(개인 컵) 브랜드 ‘스탠리(Stanley)’ 제품에서 납이 검출됐다는 주장이 나와 논란이 일고 있다.



29일(현지시간) 미국 폭스뉴스 등에 따르면 최근 틱톡 등 소셜미디어(SNS)에는 납 검사 키트로 스탠리 텀블러를 테스트한 결과, 납이 검출됐다고 주장하는 영상이 올라왔다.

납 성분과 접촉하면 색이 변하는 용액에 면봉을 적신 후, 해당 면봉으로 텀블러 내부 바닥 등 곳곳을 문지르면 면봉 색이 변한다는 내용이다.



납은 중금속 중에서도 독성이 있는 물질이다. 체내로 흡수되면 다른 중금속보다 배출되는 데 더 오랜 시간이 걸린다.

관련기사



몸속에 과잉 축적될 경우 신경계 장애와 빈혈, 변비, 복통을 유발하고 소아기에는 성장을 방해하거나 과잉행동 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다.

이에 스탠리 측은 텀블러 바닥을 밀봉하는 재료로 납이 일부 사용됐다면서도 이 납 성분이 소비자에게 직접 영향을 주는 일은 없다고 해명했다.

스탠리 대변인은 “우리는 제조 과정에서 제품 바닥에 자리한 진공 단열재를 밀폐하기 위해 업계 표준 입자(pellet)를 사용하고 있다”며 “밀폐 재료에 납이 일부 포함돼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일단 밀폐되면 이 부분(바닥)은 내구성 강한 스테인리스 스틸 층으로 덮여 소비자가 닿을 수 없다”며 “소비자가 접촉하는 어떤 스탠리 제품의 표면에도 납이 존재하지 않고 내용물에도 납이 없으니 안심하라”고 덧붙였다.

텀블러가 파손되거나 극단적인 열에 노출되거나 제품 의도와 맞지 않는 방식으로 사용되지 않는 한 납이 노출될 일은 없다는 설명이다.

미국에서는 지난해 11월 아마존에서 판매된 ‘티블루 스테인리스 스틸 어린이 컵’ 등 텀블러 제품에서 납 성분이 기준치 이상으로 검출돼 리콜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백주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