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반도체 업계가 한국·일본 등 동맹국 기업도 중국에 반도체 제조 장비를 수출하지 못하게 해야 한다고 압박하고 나섰다. 미국 정부가 이를 수용해 한국까지 장비 수출을 제한하면 국내 업계가 적잖은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1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반도체산업협회(SIA)는 17일 미 상무부 산업안보국(BIS)에 "반도체 장비 수출 통제가 동맹국보다 복잡하고 포괄적이라 미국 기업들이 경쟁에서 불리하다"는 내용을 담은 입장문을 제출했다.
SIA는 미국에 본사를 둔 세계 최대 반도체 업체들이 모여 있는 반도체 산업 단체다.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KLA, 램리서치 등 미국의 대중 반도체 장비 제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굴지의 반도체 장비 회사들도 포함돼 있다. 이들은 "미국 기업들은 수출 통제 대상으로 명시하지 않은 장비 품목도 첨단 반도체 제조에 활용된다면 중국에 일절 수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일본, 한국, 대만, 이스라엘, 네덜란드 등 외국 경쟁사들은 장비를 중국 첨단 반도체 공장에 수출할 수 있고 이에 관한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다"며 당국의 통제가 미국 반도체 생태계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미국 주요 반도체 장비 기업도 각자 의견서를 내고 “한국, 유럽연합(EU), 일본 등 다른 동맹국 경쟁사와 미국 기업 간 평평한 규제 경기장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미국과 동맹국이 같은 품목을 통제하고 같은 허가 절차를 두는 식의 수출통제가 필요 하다는 것이다.
미 상무부는 자국 장비 회사들이 건의한 다자 수출통제를 검토하고는 있지만 구체적인 협의를 진행하고 있지는 않다. 다만 우리나라 장비 업체들은 미 정부가 SIA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한국의 대중 반도체 장비 수출망까지 조여올 경우 적잖은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중국에 대한 수출이 막히면 막대한 피해가 불가피하다는 이유에서다.
‘반도체 굴기’ 앞세운 중국은 칩 사업 육성을 위해 천문학적인 금액을 투자하고 있다. 지난해 3분기 중국의 반도체 장비 투자액은 110억 6000만 달러다. 세계 투자액의 43%에 이른다.
한국 업체들은 이에 맞춰 중국을 적극 공략하고 있다. 지난해 대중(對中) 장비 수출액은 9억 9085만 달러로 전체의 61%를 차지했다. 더욱이 중국 반도체 회사들은 미국 규제망을 피해 한국 장비 회사와 접촉도 늘리는 추세다. 국내 장비사 중에서는 증착 장비에 강한 주성엔지니어링, 검사 장비 업체인 넥스틴과 파크시스템스, 후공정 분야 한미반도체가 이들을 적극 공략하면서 매출이 늘고 있다.
한 반도체 장비 업계의 고위 관계자는 "한국 업체들은 미국 회사에 비해 경쟁력이 높지 않은 것은 사실이라 레거시(옛) 반도체 위주로 공장이 갖춰지고 있는 중국을 공략해야 한다"며 "이곳마저 수출이 막히면 매출 확대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또 "중국 내 반도체 장비 업체들도 상당 부분 국산화가 이뤄져 미국 규제까지 덮친다면 한국 회사들의 설 자리는 더 좁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물론 미국의 규제가 국내 반도체 장비 업계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중국으로 장비를 수출하는 반도체 장비 회사대부분이 미국 규제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삼성전자 중국 시안 낸드플래시 공장, SK하이닉스 우시 D램 공장으로 납품하고 있기 때문이다.
SIA의 입장문이 한국보다는 일본 회사들을 겨냥한 발언이라는 해석도 있다. 업계의 또 다른 관계자는 "일본 업계가 미국의 뜻에 동참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지만 여전히 현지 회사들이 중국과 거래 중이라는 게 업계 중론"이라며 "한국보다는 일본의 움직임을 견제하고 공급망을 관리하려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