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방통위 압박에 갤S24 지원금 상향…그래도 선택약정이 유리

방통위 몸소 나섰지만 통신비 절감 제한적

LGU+ 이어 SKT·KT도 상향 검토하지만

2배 올려도 25% 선택약정할인보다 불리

할인폭 공시지원 52만 vs 선택약정 78만

통신사도 선택약정 파는 게 실적상 유리


방송통신위원회가 이동통신사들을 압박한 끝에 스마트폰 ‘갤럭시S24’ 시리즈의 공시지원금이 오르기 시작했지만 가계통신비 인하에 실질적으로 미칠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LG유플러스처럼 공시지원금을 2배로 올려도 가입자 입장에서는 여전히 요금의 25%를 할인해주는 선택약정할인에 비해 불리한 선택지이기 때문이다.

김홍일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 위원장이 지난달 31일 오전 경기도 과천시 정부과천청사에서 위원회 회의를 열고 있다. 연합뉴스김홍일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 위원장이 지난달 31일 오전 경기도 과천시 정부과천청사에서 위원회 회의를 열고 있다. 연합뉴스




4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LG유플러스에 이어 SK텔레콤과 KT도 조만간 갤럭시S24의 공시지원금을 늘리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LG유플러스는 2일 갤럭시S24의 공시지원금을 최고 22만 원 올렸다. 월 4만~13만 원짜리 5세대 이동통신(5G) 요금제 기준으로 19만 4000원~45만 원의 공시지원금을 책정, 대리점이나 판매점의 15% 추가지원금을 합치면 약 22만~52만 원의 할인을 가입자가 받을 수 있다. 국내 5G 가입자의 월 평균 데이터 소비량인 28GB에 대응하는 6만 1000원짜리 요금제(31GB)는 약 29만 원을 할인받을 수 있다.



하지만 공시지원금이 늘어도 여전히 선택약정할인의 혜택을 넘어서지 못한다. 가입자는 기기값을 할인해주는 공시지원금이나 매달 요금을 할인해주는 선택약정할인 둘 중 하나만 선택할 수 있다. LG유플러스의 같은 요금제 기준으로 갤럭시S24의 선택약정할인은 28만~78만 원 규모다. 공시지원금과 추가지원금의 합보다 20~50% 많다.

관련기사



게다가 공시지원금은 신제품을 구매해야 받을 수 있는데, 갤럭시S24처럼 스마트폰이 점점 고급화하면서 소비자의 신제품 교체 주기가 길어지고 이에 선택약정할인이 점점 더 대세가 되고 있다는 게 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다음 달 선택약정을 1년 단위로 갱신함으로써 위약금 부담을 줄이는 사전예약제도 시행한다.

과기정통부가 집계한 지난해 6월 선택약정 가입자는 2600만 명이었다. 같은 달 ‘고객용 휴대폰’ 가입자는 5600만 명, 이 중 알뜰폰(MVNO) 800만 명과 3사 다이렉트(온라인) 등 무약정 유심요금제 가입자를 제외하면 선택약정 비중은 절반 이상으로 추산된다.

방통위가 통신사들에 대한 압박 수위를 더 높인다고 해도 공시지원금 혜택이 선택약정할인을 넘어서기는 힘들어 보인다. 통신사들부터가 선택약정할인을 공시지원금보다 선호해, 갤럭시S24 이전부터 선택약정할인이 더 유리하도록 설계해왔기 때문이다. 선택약정할인은 월 요금에 비례해 할인 혜택이 늘어나므로 가입자를 고가 요금제로 끌어들이기 더 유리하다는 점이 이유로 꼽힌다. 공시지원금 역시 비싼 요금제를 쓸수록 어느 정도 늘어나지만 요금에 따른 상승폭이 더 완만해 고가 요금제 가입자에게는 불리하다. 일례로 LG유플러스의 13만 원짜리 5G 요금제 가입자는 4만 7000원짜리 요금제 가입자에 비해 월 요금이 2.77배 비싸지만 갤럭시24의 공시지원금 차이는 2.32배에 불과하다.

수익성 관리에도 선택약정할인이 더 유리하다는 통신업계의 속내가 전해진다. 통신사에게 공시지원금은 ‘마케팅 비용’으로 잡힌다. 가입자에게 공시지원금을 주면 매출의 일부가 비용으로 발생해 영업이익률이 줄어든다는 의미다. 반면 선택약정할인은 처음부터 25% 줄어든 매출을 걷는 것으로 비용으로 인식되지 않는다. 어차피 같은 할인 혜택을 줘야 한다면 회사 수익성 지표인 영업이익률을 지키고 매출을 희생하는 게 낫다는 것이다.


김윤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