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로터리] 수도권에만 몰린 IT기업들

우동기 지방시대위원회 위원장





‘네카라쿠배당토(네이버·카카오·라인·쿠팡·배달의 민족·당근·토스)’는 요즘 청년들이 가장 입사하고 싶어 한다는 기업의 첫 글자를 딴 신조어이다.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대부분 한 번쯤 이용했을법한 디지털 기업들이며 청년들은 이러한 디지털 기업에 취업하기를 희망한다.



그러나 이 기업들은 강남·마곡·상암·판교 등의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 교통·교육·문화에서의 불균형이 디지털 시대를 맞아 수도권과 지방간의 격차를 심화, 확대시키고 있는 것이다. 세부적인 현황을 살펴보면 더욱 심각하다. 디지털 기업의 4분의 3 이상이 수도권에 몰려 있다. 고용인원은 6분의 5 이상, 매출은 10분의 9 이상으로 더욱 심각하다.

출산율 감소와 지방 청년의 수도권으로의 유출이 지속되는 현실을 감안할 때, 청년들이 선호하는 디지털 관련 일자리가 지방에 마련되고 청년이 정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 하는 것이야 말로 지방소멸에 대응하기 위한 중차대한 과제가 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지방의 디지털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디지털 혁신거점 조성’ ‘인재양성’ ‘디지털 활용 제고’라는 3가지 축을 통한 ‘디지털 재창조로 지방 신산업 혁신역량 강화’ 정책을 추진 중이다.

관련기사



우선, 지방 디지털 산업의 거점이 될 ‘디지털 혁신지구’를 2030년까지 5개 이상 조성해 지방에서 창업해 혁신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디지털 기업·인재의 집적을 지원할 예정이다. 지방에서 디지털 전환을 주도할 디지털 서비스 강소기업도 100개 이상 육성해 지방의 제조현장, 농·축·수산업, 소상공인들의 디지털화를 지원한다.

둘째, 지방의 디지털 산업을 이끌어갈 인재도 집중 육성한다. 소프트웨어 중심 대학을 ‘2027년 100개로 확대(2022년 44개)할 계획이다. 지방대학과 지방정부가 주도적으로 디지털 인재를 키우는 시스템을 통해 지방기업의 수요와 연계한 현장형 고숙련 디지털 전문인력 양성을 지원한다.

셋째, 농어촌 주민들의 디지털 활용 능력 향상을 위해 주민센터 등을 기반으로 디지털 배움터를 고도화하고, 주민 생활과 밀접한 서비스 형태의 디지털 사회간접자본(SOC)를 300개 이상 확충할 계획이다. 디지털이 산업 뿐만 아니라 지방의 삶의 질 제고에 뿌리내리고 지역인재가 종사할 수 있는 길이 보다 폭넓게 열린다.

아울러, 디지털 벤처기업을 창업하려는 지방의 인재들을 적극 지원하는 정책도 필요하다. 최근 포항에서 주목할 만한 시도로 ‘체인지업 그라운드’를 중심으로 포스코와 포항공대 등이 벤처플랫폼을 구축해 우수한 지방 인재들을 배출하고 있다. 이렇게 지역이 주도하는 디지털 벤처생태계 조성이 지방청년 창업의 새로운 모델로 뿌리내릴 수 있도록 전국적으로 확산시키는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지방의 디지털 역량강화 정책이 지방청년·주민, 농‧어촌과 도시에 골고루 혜택과 기회를 주는 새로운 지방시대를 여는 열쇠가 되기를 기대해본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