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고금리 부담 큰 기업에 76조 금융지원

민당정, 中企 19.4조 우선투입

대출금리 최대 2%P 낮춰 제공

신산업 투자에도 56.3조 공급

유의동(왼쪽 세 번째)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이 14일 국회에서 열린 ‘고금리 위기 극복과 신산업 전환을 위한 맞춤형 기업금융 지원 방안’ 민당정협의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권욱 기자유의동(왼쪽 세 번째)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이 14일 국회에서 열린 ‘고금리 위기 극복과 신산업 전환을 위한 맞춤형 기업금융 지원 방안’ 민당정협의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권욱 기자





국민의힘과 정부가 고금리 장기화로 자금난을 겪는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총 76조 원의 기업금융을 낮은 금리로 은행연합회와 함께 공급한다. 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이 20조 원 규모의 자금 지원을 책임진다.

관련기사



당정은 14일 국회에서 은행연합회·중소기업중앙회 등과 ‘고금리 위기 극복과 신산업 전환을 위한 맞춤형 기업금융 지원 방안’ 민당정협의회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 금융 당국과 국책 및 민간은행은 우선 중소기업의 고금리 부담을 완화시키기 위해 19조 4000억 원을 투입하며 이 중 5조 원은 금리가 5%를 넘는 고금리 대출에 대해 1년 동안 최대 2%포인트 금리를 낮춰 제공된다. 낮은 금리의 고정금리 상품을 2조 원 규모로 공급하는 등 고금리 부담 경감에 11조 3000억 원의 정책금이 책정됐으며 유동성 부족을 겪는 중소기업의 정상화를 위해 3조 원이 지원돼 가산금리가 면제된다.

이와 함께 당정은 중소·중견기업의 신산업 투자를 위해 56조 3000억 원을 공급할 방침이다. 반도체·2차전지 등 대규모 시설 투자가 필요한 첨단산업에는 ‘20조 원+α’의 자금을 투입하고 공급망안정화기금을 5조 원 규모로 조성해 해외에서 국내로 복귀하는 ‘유턴 기업’을 지원한다.

산업은행과 기업·수출입은행도 중소기업의 신산업 진출과 기술 기반 자금 지원을 위해 16조 3000억 원의 정책금융을 우대금리로 제공한다. 유의동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새로운 산업 밸류체인을 강화하려는 기업에는 성장 사다리를 놓아주고 초격차를 위해 뛰는 기업에는 선도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줄 것”이라고 말했다.


강도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