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방통위, 네이버·구글 등과 딥페이크 허위정보 차단 협력

자율규제 강화 위해 민관협력 회의 개최

AI 생성물 표시·탐지 모니터링 등 논의





방송통신위원회가 딥페이크(인공지능으로 만든 영상·이미지 합성 조작물)를 활용한 허위정보 확산을 막기 위해 국내외 플랫폼 및 인공지능(AI) 기업들과 협력에 나선다.



방통위는 23일 딥페이크 허위정보 대응 관련 자율규제 강화를 위해 민관협력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는 허위조작 영상에 따른 실제 사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마련됐다.

관련기사



회의에는 네이버, 카카오, 구글, 메타, 엑스(X, 옛 트위터), 바이트댄스(틱톡)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방통위와 해당 기업들은 △인공지능(AI) 생성물 표시 △탐지 모니터링 △삭제·차단 조치 등과 관련된 자율규제 현황과 강화 방안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이상인 방통위 부위원장은 회의를 주재하면서 "딥페이크 허위정보로 인한 개인 피해와 사회적 혼란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플랫폼의 자정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특히 올해는 전 세계적으로 큰 선거들도 앞두고 있는 만큼, 더욱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자율규제에 나서달라"고 말했다.

또 이 부위원장은 국내 사업자에게 AI의 기만적 사용을 막기 위한 협약인 ‘뮌헨 기술협약’ 등 글로벌 기업의 자율규제 강화에 상응하는 조치를 요청하고, 글로벌 사업자에게는 국내 사업자 수준의 신속한 조치에 최선을 다해 줄 것을 당부했다.


류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