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정책

150조 뭉칫돈 대기…밸류업 수혜주 옥석가리기 본격화

[밸류업 대책 발표 앞두고 증시 '정중동']

예탁금 53.6조로 한달새 3.8조 늘어

신용융자·CMA 잔액도 일제히 급증

외국인·기관 주도 저PBR株 강세 속

주주환원 높은 기업에 자금유입 전망

정책 실효성 없을땐 해외 이탈할 수도

서울 여의도 증권가. 연합뉴스서울 여의도 증권가. 연합뉴스




정부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발표가 코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한 뒤 투자하려는 대기 자금이 크게 늘고 있다. 투자 전문가들은 이런 자금들이 정부 발표 이후 저평가 주식에 선별적으로 유입될 것으로 점치면서도 정책에 대한 실망이 더 클 경우 미국 등 해외 증시로 이탈할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23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투자자 예탁금은 정부가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처음 언급한 지난달 24일 49조 7804억 원에서 이달 22일 53조 6264억 원으로 한 달가량 동안 3조 8460억 원이 더 증가했다. 19일과 21일에는 이 액수가 54조 원을 넘기도 했다. 예탁금은 투자자가 주식을 사려고 증권사 계좌에 맡겨두거나 주식을 팔고 쌓아둔 돈으로, 금융투자 업계에서는 증시 대기성 자금으로 분류한다.

밸류업 발표를 목전에 두고 늘어난 증시 대기 자금은 예탁금뿐이 아니다. 개인투자자들이 빚을 내 주식을 사는 자금인 신용거래 융자 잔액도 이 기간 17조 9028억 원에서 18조 3766억 원으로 4738억 원 더 늘었다. 종합자산관리계좌(CMA) 잔액 역시 69조 6300억 원에서 76조 9366억 원으로 7조 원 이상 급증했다. CMA는 투자자가 맡긴 자금을 증권사가 국고채나 양도성예금증서(CD), 회사채 등에 투자해 수익을 내며 수시로 돈을 넣고 뺄 수 있는 상품이다. CMA 잔액은 19일 77조 7543억 원까지 불어 사상 최대치에 이르기도 했다.



업계에서는 증시 주변 자금이 빠르게 늘어나는 이유를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 때문으로 풀이했다. 총선을 앞두고 정부가 직접 증시 부양 의지를 보이는 상황에서 실제 정책을 확인한 뒤 수혜주에 투자하겠다는 목적이 강하다는 해석이다.

관련기사



실제 지난달 24일부터 이날까지 국내 주식시장의 상승세는 주당순자산비율(PBR)이 낮은 종목들이 주도했다. 흥국화재(000540)가 이 기간 94.21% 뛰어오른 것을 비롯해 삼성생명(52.72%), LG(003550)(39.04%), 제주은행(006220)(36.78%), 삼성물산(028260)(36.29%), 기아(000270)(34.70%), 현대차(005380)(31.89%) 등 상당수 저(低)PBR 종목이 유가증권시장 상승률 상위권을 석권했다.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가 8.11% 오른 점을 감안하면 해당 종목들만 압도적으로 강세를 보인 셈이다. 특히 이 기간 외국인투자가가 코스피에서만 8조 1600억 원어치를 순매수하고 연초 매도 폭탄을 던지던 기관까지 1조 7900억 원 매수 우위로 돌아서면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는 더욱 확산했다. 이날 코스피시장에서도 보험(2.90%), 증권(1.52%), 금융업(1.61%) 등 대표적인 저PBR 업종들이 가장 많이 올랐다.



전문가들은 26일 정부 정책 발표 이후에는 자사주 매입·소각, 배당 확대 등 기업가치 제고 노력에 자발적으로 동참하는 기업들의 주가가 일시적으로 탄력을 받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단기적으로는 증시 주변 자금이 이들 기업을 중심으로 흘러 들어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노동길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밸류업 프로그램 중심축이 자기자본이익률(ROE)이라면 일본 사례를 참고해 타사 주식 매각으로 자본 효율성을 제고할 기업에 주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다만 정부가 실효성이 떨어지는 정책을 내놓을 경우 불투명한 기대만으로 늘었던 증시 자금들이 해외 주식시장이나 다른 투자 상품으로 뿔뿔이 흩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만만찮게 나왔다. 업계에서는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핵심 내용으로 거론되는 세제 혜택들은 대부분 법 개정 사안이라 4월 총선에서 여당이 대승을 거둔다는 전제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한국거래소의 ‘밸류업 지수’ 산출과 자산운용사들의 관련 상장지수펀드(ETF) 개발 문제도 상당한 시일이 걸리는 작업인 만큼 26일 당장 구체화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대세다. 무엇보다 일본의 밸류업 제도가 10년 뒤에야 빛을 본 점을 감안하면 기업 체질 개선 없이 정책만으로 당장 증시를 부양하기는 힘들 것이라는 의견도 많았다. 금융 정보 업체 에프앤가이드(064850)에 따르면 이달 14일 기준으로 지난해 4분기 실적을 발표한 국내 상장사 218개 중 72%인 158개사가 시장 평균 추정치를 밑도는 영업이익을 발표한 상태다.

박승영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밸류업 프로그램의 성패는 기업들이 얼마나 자율적으로 따르는가에 달렸다”며 “자사주 소각을 비용으로 인정하고 배당 증가분에 대해 세액을 공제해주면 기업들이 주주 환원을 비용 절감 수단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영국계 헤지펀드 헤르메스의 조너선 파인스 일본 제외 아시아 수석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13일(현지 시간) 홈페이지에서 “한국 특유의 총수 일가 지배구조를 개혁하지 않는 한 일본식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은 효과를 내지 못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윤경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