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기업들, 퇴사 가능성 높은 S급보다 '태도 좋은' A급 인재 선호"

27일 채용 컨설팅 기업 로버트월터스 조사 결과 발표

사진 = 이미지투데이사진 = 이미지투데이




불황으로 기업들이 보수적인 채용 기조를 강화하면서 신규 채용보다는 기존 인력 유지에 집중하고 있다. 단기간 내 퇴사 가능성이 높은 'S급' 인재보다는 협업 태도와 커뮤니케이션 능력 등 이른바 '소프트 스킬'을 갖춘 'A급' 인재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S급은 최고 등급을, A급은 그 다음 단계 등급을 의미한다.



글로벌 채용 컨설팅 기업 로버트월터스는 27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4 디지털 연봉조사서' 결과를 발표했다. 기업들이 신규 채용보다 기존 인력 유지에 집중하는 이유는 채용 관련 비용 절감이다.

관련기사



이력서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는 기술 역량 외에도 이력서로 드러나지 않는 소프트 스킬을 면밀하게 파악하려는 경향도 두드러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또한 '화상 면접은 채용 성공률이 낮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팀 미팅, 커피챗 등 인성을 파악할 수 있는 대면 면접이 필수 절차로 부상했다고 설명했다. 정유경 컨설턴트는 "이력서로 보이는 'S급'보다는 기업과 오래갈 수 있는 태도가 좋은 'A급' 인재를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났다"며 "스킬은 가르칠 수 있지만 태도는 바꾸기 힘들다는 의견이 나왔다"고 전했다.

직무별로 보면 테크 분야에서는 1인 개발팀 증가가 예상되면서 주도적으로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할 수 있는 소프트 스킬 인재 수요가 커지고 있다. 재무와 법무 분야에서도 다양한 이해관계자 및 글로벌 본사와 커뮤니케이션, 투자자관계(IR) 등 다양한 관계를 원활하게 하는 역량에 가중치를 두고 있다.

기업들의 성공적인 인재 유치를 위해 연봉 패키지 못지않게 비급여성 복지 제공이 중요해지는 추세로 나타났다. 로버트월터스 조사 결과 이직 계획이 있는 지원자는 이직 시 성과급(84%)이나 스톡옵션(36%) 외에도 자율출근·원격근무(48%), 자녀 학자금(30%), 장기휴가·안식년(26%) 등 복리후생을 중시했다. 기업들도 지난해 직원 유지를 위해 하이브리드 근무제 도입(55%), 복리후생 개선(50%), 직원 웰빙 증진(36%) 등 노력을 했다고 답변했다.

사회적으로 관심이 많은 인공지능(AI) 기술의 경우 현재 단순하고 반복적인 업무에 AI 툴을 활용하는 수준으로 인재나 직무를 대체하기에는 좀 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로버트월터스는 전망했다. 최준원 로버트월터스 코리아 지사장은 "기업들은 실무적 전문성을 넘어 폭넓은 시야로 전체를 조망하고 이해관계자들과 효율적으로 소통하는 스킬을 높이 사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직무 전문성을 꾸준히 키우고 적극적으로 기회를 열어놓는다면 경쟁력 있는 인재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