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중기·벤처

“청년들이 찾는 산업단지”…산단공, 노후 산업단지 재도약 시동 본격화

미래 산업과 청년 모이는 ‘산업단지 마스터플랜’ 후속사업 실행

2024년, 13개 주요 노후산단에 구조고도화 36개 중점사업 추진

한국산업단지 본사 전경한국산업단지 본사 전경




한국산업단지공단이 노후 산업단지 재도약을 위해 기획한 ‘산업단지 마스터플랜’의 본격 실행에 나선다고 27일 밝혔다.



산단공은 향후 10년간 13개(서울, 남동, 반월시화, 구미, 대구, 광주, 여수, 창원, 오송, 군산, 명지녹산, 울산미포, 북평) 지역별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구조고도화사업 추진 등을 통해 노후 산업단지를 미래 산업과 청년들이 모여드는 공간으로 재편하겠다는 계획이다.

‘산업단지 마스터플랜’은 지난해 8월 정부에서 발표한 ‘산업단지 입지 킬러규제 혁신방안’의 후속 조치로, 산단공은 지방정부의 산업단지 정책 수립을 지원하기 위해 주요 노후 산단을 대상으로 산업고도화 및 공간혁신(3대 전략, 7개 과제)을 위한 미래 발전사업 280개를 포함한 마스터플랜을 제시했다.



산업고도화 및 공간혁신 3대 전략은 △산업구조 전환 △ 공간구조 재편 △ 생활환경 개선 등이고 7개 과제는 △주력산업 업종고도화 △성장유망산업 육성 △핵심거점공간 조성 △디지털·저탄소산단 조성 △생활편의시설 개선 △브랜드산단 조성 △교통환경 개선 등이다.

관련기사



이를 토대로 산단공은 올해 국비, 민간투자 등을 포함한 향후 10년간 총사업비 3조원 규모의 산단 구조고도화 36개 중점사업을 추진한다.

사업비는 정부출연으로 20개 사업 4400억 원, 산단환경개선펀드와 연계해 6개 사업 1조8100억 원, 민간대행으로 6개 사업 7700억 원, 개발이익재투자금, 지방비 등 활용하여 4개 사업 200억 원 규모로 재원을 모아 추진할 계획이다.



창원 융복합집적지(Smart-Up Park) 조성사업은 산업단지공단, 창원시 등 66개 기관이 협업해 산단 내 유휴부지에 정부 산단지원사업과 민간투자를 연계해 산학융합지구, 복지타운(기숙사, 복지관), 복합문화센터 등 산단 혁신기능집적화를 구현한 구조고도화사업의 대표 사례이다.

이상훈 산단공 이사장은 “올해는 지난해 12월 수립한 산업단지 마스터플랜을 구체화하는 첫해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며 “계획된 사업들이 속도감 있게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노현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