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범고래의 경고?…‘2분 만에 나홀로’ 백상아리 사냥에 학계 ‘발칵’

남아공 근해서 사상 첫 보고

기존 습성과 다른 변화 감지

사진은 본 기사와 관련 없음. 이미지투데이사진은 본 기사와 관련 없음. 이미지투데이




바다의 최상위 포식자인 범고래 한 마리가 단 2분 만에 백상아리를 사냥하는 모습이 포착돼 화제다.



3일(현지시간) 영국 BBC 방송 등 외신에 따르면 남아프리카공화국 로즈대의 앨리슨 타우너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범고래의 이 같은 사냥 방식을 담은 논문을 '아프리카 해양과학 저널'에 게재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지난해 6월 18일 남아공 케이프타운 근처 물개섬(Seal Island)에서 800m가량 떨어진 바다에서 범고래 '스타보드'가 2.5m 크기의 백상아리를 2분 만에 사냥하는 모습이 연구팀에 포착됐다. 스타보드는 백상아리의 지느러미를 붙잡고 여러 번 밀어내더니 간만 쏙 빼먹었다.



스타보드는 2015년 케이프타운 근해에서 처음 발견된 범고래 한 쌍 중 하나로 나머지 한 마리는 '포트'라고 불린다.

관련기사



이들은 처음에 작은 상어 종을 잡아먹는 모습만 관찰됐지만 2017년부터는 백상아리를 함께 사냥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하지만 이번 사냥은 스타보드 단독으로 이뤄졌다. 포트는 함께 사냥에 나서지 않고 약 100m 떨어진 곳에서 따로 발견됐다.

스타보드의 이번 단독 사냥은 일반적인 범고래의 습성과 차이가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통상적으로 범고래들은 바다사자나 바다표범, 상어와 같은 큰 사냥감을 함께 둘러싸는 방식으로 협동 사냥을 한다.

또한 지능이 높은 범고래가 큰 먹이를 개별적으로 사냥하는 일 역시 전례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포악하기로 이름난 백상아리를 단독 사냥한 사례는 처음 학계에 보고된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고래의 사냥 행태가 변한 것이 기후 변화나 어업의 영향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타우너 박사는 "확실한 증거는 아직 없지만 기후변화와 산업형 어업 등 인간의 활동이 해양 생태계에 스트레스를 주고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범고래의 백상아리 단독 사냥이 생태계 변화의 신호일 수 있다고도 설명했다. 연구에 참여한 이탈리아 상어연구센터 프리모 미카렐리 박사는 "20년 넘게 남아공을 방문해 범고래가 이곳 백상아리 개체수에 미치는 엄청난 영향을 관찰했다"며 "해양 생태계 균형에 대한 우려가 점점 커지고 있다"고 밝혔다.


박동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