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中, AI 기술 자립화 ‘국가대표팀’ 구성해야

국가 역량 집결해 美와 격차 줄여야

전인대에선 ‘AI+ 행동’ 개념 첫 등장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세계 인공지능 회의(WAIC)에 인공지능(AI) 표지판이 걸려 있다. 로이터연합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세계 인공지능 회의(WAIC)에 인공지능(AI) 표지판이 걸려 있다. 로이터연합




중국에서 인공지능(AI) 산업 성장에 발맞춰 기술 자립화를 위해 국가적 역량을 결집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미국의 첨단 반도체 수출 통제로 인해 AI 기술 개발이 뒤쳐질 수 있다는 우려 속에 연례 최대 행사인 양회(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전국인민대표대회)를 계기로 AI 산업 육성 논의가 활발해질 전망이다.



중국 관영 영자지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 전국위원회 위원이자 중국과학원 컴퓨팅기술연구소 연구원인 장윈취안은 현재 중국의 대형 모델 훈련용 지능형 컴퓨팅 칩의 혁신과 공급이 미국에 비해 뒤쳐지고 있다며 이 같이 주장했다. 그는 “중국의 슈퍼컴퓨팅 병목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국가대표팀을 구성해야 한다”며 “이 계획이 중국 스스로 AI 개발을 달성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장 연구원은 중국의 국내 AI 칩 제조업체들이 반도체 생산에 제약이 있어 최첨단 칩을 생산하는 능력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적 역량을 모아 칩 프로젝트를 포함한 특수 슈퍼컴퓨팅 연구 프로젝트를 설립할 것을 제안했다.

장 연구원은 관련 분야에 축적된 재능과 기술적 이점을 충분히 활용하면 빠른 시일 내에 돌파구를 마련하고 대형 모델 훈련 분야에서 중국과 미국의 격차도 줄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주권(소버린) AI’ 능력은 군사적, 정치적, 경제적, 기타 측면을 포함한 국가 전체의 기술 경쟁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중국이 뒤쳐질 경우 제재와 탄압을 받을 위험에 직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엔비디아에 따르면 주권 AI는 자체 인프라, 데이터, 인력과 비즈니스 네트워크를 사용해 AI를 생산할 수 있는 국가 역량을 말한다.

한편 중국은 전국인민대표대회에 보고한 올해 업무보고에 ‘AI+ 행동’이라는 개념을 처음 도입했다. 업무보고서의 ‘디지털 경제 혁신 발전’ 항목에서 “디지털의 산업화, 산업의 디지털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디지털 기술과 실물 경제의 심도 있는 융합을 촉진하겠다”며 “빅데이터, AI 등의 연구·응용을 심화하고, ‘AI+ 행동’을 벌여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중국이 AI 기술의 전략적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가 차원의 종합적인 반도체 지원 체계를 강화해 미국의 압박에 맞설 것이라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베이징=김광수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