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한국엔 없는 홍삼 에너지드링크…'여기'에만 있다?[똑똑!스마슈머]

정관장 ‘홍삼원’ 미국 매출 5년만에 2배↑

높아진 면역력 관심에 판매채널 확대 주효

미국에서 낯선 인삼 음료 틈새 파고들어

향후 미국내 R&D센터 중심 현지화 주력

경기도 파주시 임진강 인근에서 농민이 6년근 개성 인삼을 채굴해 품질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경기도 파주시 임진강 인근에서 농민이 6년근 개성 인삼을 채굴해 품질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국산 홍삼 음료가 미국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코로나19를 계기로 높아진 면역력 향상에 대한 관심이 현재까지도 이어지면서다. KGC인삼공사는 쓴 맛에 익숙하지 않은 미국인의 입맛에 최적화된 형태로 수출용 상품을 늘려 나간다는 계획이다.

23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시장에서 정관장 ‘홍삼원’의 매출은 2019년 대비 2배로 성장했다. 이 기능성 음료는 홍삼농축액에 대추·생강·계피와 같은 식물성 소재를 더했다. 호실적에는 외국인에게도 부담 없는 부드러운 맛과 코스트코·아마존·아이허브·이베이 등 온오프라인에서의 판매 채널 확대가 주효했다. 2015년 코스트코에 처음 들어간 이래 현재는 140여개 매장에 입점했다. 연간 500만달러 이상의 판매고를 올리는 스틱형 ‘에브리타임’은 간편함과 휴대성이 무기다. 이 밖에도 60여 종의 정관장 제품이 미국에서 판매되고 있다.



인삼을 활용한 식품은 현지에서 최근 관심받기 시작한 분위기다. 미국에도 인삼속에 속하는 작물은 있지만, 이를 섭취하는 개념은 그간 낯설게 인식됐다. 이 품종 화기삼은 몸통이 두꺼워 무에 가깝게도 자라난다. 그러나 대부분이 홍콩 등지로 수출되거나 필요한 성분만 추출하는 데 그친다. 국산 고려인삼은 이 틈새를 파고들고 있는 셈이다.

관련기사



홍삼원을 현대적으로 리뉴얼해 쓴 맛을 덜고 탄산을 추가한 미국 수출 전용 상품 ‘HSW.’ 사진 제공=KGC인삼공사홍삼원을 현대적으로 리뉴얼해 쓴 맛을 덜고 탄산을 추가한 미국 수출 전용 상품 ‘HSW.’ 사진 제공=KGC인삼공사


KGC인삼공사는 향후 현지화에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캡슐과 타블렛 등 섭취 간편성을 높인 제품을 내놓기로 했다. 국내 제품을 그대로 수출했던 이전과는 다른 전략이다. 홍삼원을 현대적으로 리뉴얼해 지난해 초 미국에 내놓은 수출 전용 ‘HSW’가 대표적 사례다. 쓴 맛을 덜고 탄산을 추가해 현지에선 에너지음료의 하나로 인식된다. 라벨도 약재 성격을 강조한 국내용 제품들과 달리 일반 캔음료처럼 디자인됐다.

지난해 3월 문을 연 미국 플러튼의 R&D센터는 이 같은 개발 방식의 핵심 역할을 수행한다. 미국 내 임상 연구와 원료 표준화, 글로벌 건강기능식품 소재 정보수집이 주된 임무다. KGC인삼공사 관계자는 “미국에서의 호실적은 중국 의존도를 낮추는 의미가 있다”면서 “대형 유통망 확대와 현지 소비자를 타깃으로 한 제품 확장을 통해 성장세를 이어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황동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