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인스타그램에선 나 빼고 모두 잘 사네"…2030 우울증 36만 명 시대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사진, 넷플릭스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사진, 넷플릭스




예술계 종사자 이모씨(34)는 올초 한 심리상담센터를 향했다. 이씨는 “주변 친구들은 하나둘씩 결혼하는데, 직업도 마땅치 않고 돈도 모아두지 못해서 이대로 낙오될거 같다는 두려움이 크다”고 고백했다.



취업, 진로, 결혼 등 여러 인생 과제를 해결하는 문제로 정신적인 피로감을 호소하는 청년이 급증하면서 마음 건강이 위협받고 있다.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우울증 환자는 약 100만32명으로 2018년(75만3011명) 대비 32.8% 증가했다.

이 중 20~30대(35만9142명)가 전체의 35.9%를 차지한다. 임명호 단국대 심리치료학과 교수는 “정신 건강과 신체 건강은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며 “청년들이 활력을 잃는다는 건 곧 우리 사회와 경제가 힘을 잃는 것과 같다”고 진단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발달이 청년들의 불안심리를 키우는 요인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SNS의 발달로 비교가 일상화된 문화가 청년층의 우울감을 악화시킨다는 지적이다.

관련기사



이에 정부와 지자체도 청년 마음 돌보기 사업에 적극 나서고 있다.

정부(보건복지부)의 ‘청년 마음 건강지원’이 대표적 사업이다. 정부와 지자체가 협력해 1 대 1 전문가 상담에 드는 비용 일부분을 보전해주는 서비스다. 부담 없이 심리상담 서비스를 받는 A형과 높은 수준의 상담 서비스가 필요한 B형으로 나뉜다. A형은 회당 6000원, B형은 회당 7000원의 본인 부담금만 내면 된다.

지자체도 앞다퉈 청년들의 건강사업을 돌보는 자체 사업을 선보이고 있다.

서울시는 2020년부터 ‘서울 청년 마음건강’ 사업을 펼치고 있다. 일상생활에서 정서적·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청년에게 전문 심리상담을 무료로 제공하는 서비스다. 온라인 자가검진을 거친 뒤 상태에 따라 대면 상담을 6회에서 최대 10회까지 받을 수 있다.

약물치료가 필요한 경우 청년들의 의료비를 지원하는 사업도 적극 벌이고 있다. 2021년 1847명이던 신청자가 2023년 1만31명으로 늘었다.

경기도는 ‘청년마인드케어’를 통해 치료비와 약값을 지원하고 있다. 신청자는 본인 부담금 중 연간 36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2022년 5318명, 2023년 6245명이 지원받았다.

부산시도 ‘청년 마음이음’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18~39세 청년이 대상이다. 지원 대상을 지난해 300명에서 올해 600명으로 확대했으며, 1인당 최소 4회에서 최대 7회까지 상담받을 수 있다. 경상남도는 기초생활보장수급자와 중위소득 120% 이하에 해당하는 청년을 대상으로 정신건강 치료비를 연간 40만원 한도로 지원한다.


남윤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