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차세대 해양모빌리티 글로벌 혁신 특구에 '부산' 최종 선정

네거티브 규제 국내 첫 도입

첨단 조선기자재 산업 육성 속도

친환경·스마트 선박시장 선재대응

부산 글로벌 혁신 특구 사업 추진 계획. 사진제공=부산시부산 글로벌 혁신 특구 사업 추진 계획. 사진제공=부산시




부산시는 30일 국무총리 주재 규제자유특구위원회에서 부산이 차세대 해양모빌리티 글로벌 혁신 특구로 최종 지정됐다고 밝혔다.

부산 글로벌 혁신 특구 사업에는 한국선급 등 국내·외 선박관련 기관, HD한국조선해양, HMM, 에코프로HN 등 선박 관련 기업이 참여한다.



파나시아 등 부산 조선기자재 20여 개사로 이뤄진 특구사업자는 네거티브 규제와 실증 특례를 인정받아 향후 4년간 암모니아·수소 하이브리드 추진시스템, OCCS(선박용 이산화탄소 포집시스템) 등 친환경 기자재 실증과 자율운항선박 R&D 등을 수행한다.

관련기사



정부와 시는 국내외 실증, 해외인증, 책임보험, 사업화와 수출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한다.

시는 이번 특구 지정으로 전면적 네거티브 규제가 적용되는 부산에 최첨단 기술력을 가진 국내 유수의 조선기자재 업체의 유입을 기대한다.

특히 혁신기술 기업 육성으로 기업 매출증가 3조 원, 1만7000여 명의 고용 창출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한다.

박형준 시장은 “세계 각국은 국제해사기구(IMO)의 선박 환경규제에 대응하고 자율운항선박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해 사활을 걸고 있다”며 “이번 특구 지정으로 선박의 친환경·스마트 패러다임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부산을 차세대 해양모빌리티 분야에서 세계시장 선도 도시로 성장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