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공기업

"기후위기 대응" 수자원公 초격차기술 공개

유엔 자문회의서 AI정수장 등 선봬

윤석대 "첨단 노하우로 해외 공략"

윤석대(오른쪽 두 번째)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이 19일(현지 시간)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제23차 유엔 HELP’에 참석해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한국수자원공사윤석대(오른쪽 두 번째)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이 19일(현지 시간)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제23차 유엔 HELP’에 참석해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한국수자원공사




한국수자원공사가 글로벌 기후위기 대응 방안인 인공지능(AI) 기반의 정수장 운영 등 3대 초격차 기술을 소개해 큰 호응을 얻었다.



윤석대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은 19일(현지 시간)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제23차 유엔 물과 재해에 관한 고위급 전문가 패널(HELP)’에서 초격차 기술을 주제로 기조연설을 했다. 유엔 HELP는 기후변화 및 물 관련 재해 피해를 줄이기 위해 2007년 유엔 사무총장 자문기관으로 발족한 물 관련 세계 최고위급 자문회의다. 현재 의장은 한승수 전 국무총리가 맡고 있으며 윤 사장은 지난해 11월 공식 위원으로 선임된 바 있다.

관련기사



윤 사장은 이날 AI 기반의 정수장, 댐 유역 관리 전반의 디지털트윈(DT) 구축, 수돗물 전 공급 과정에 대한 스마트관망관리(SWNM) 등 3대 초격차 기술을 선보였다. 이날 소개한 기술은 물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국가에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해법이 될 것으로 평가됐다. 윤 사장은 발표 직후 아시아개발은행(ADB) 부총재와 기술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별도의 면담도 가졌다. 또 세계은행(WB), 세계기상기구(WMO) 등 글로벌 기구와의 협력 가능성도 높였다. 수자원공사는 수상태양광, 해수 담수화, 그린수소, 수열, 조력, 초순수 등 6개 글로벌 선도 기술을 바탕으로 세계 물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토대도 다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윤 사장은 “공사의 첨단 물 관리 노하우와 기술이 녹아 있는 3대 초격차 기술을 전 세계에 선보인 첫 자리로서 의미가 크다”며 “국제적 영향력을 바탕으로 인류 물 문제 해소에 기여하고 나아가 초격차 기술을 바탕으로 국내 물 기술의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