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서울서 모이는 한일중 정상… "한반도 완전 비핵화"

중국의 막판 반대 가능성도 있어

윤석열(오른쪽) 대통령과 리창 중국 총리가 악수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윤석열(오른쪽) 대통령과 리창 중국 총리가 악수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리창 중국 총리 등 한일중 정상이 서울에 모여 ‘한반도 완전 비핵화’ 목표를 다시 한 번 선언한다.



25일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한중일 정상회의 공동선언 초안에 “한반도 비핵화 실현을 위해 대화와 외교 및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이행이 중요하다”는 문구가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또 '한반도와 동북아시아 평화와 안정 유지는 우리의 공통 이익이자 책임'이라는 문구도 들어갔다. 북한의 핵무기 및 미사일 개발을 염두에 둔 문구다. 더불어 2022년 7700억 달러(약 1000조원)였던 한중일 3국 간 무역 규모를 수년 뒤에 1조 달러(약 1370조원)로 늘린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공동선언은 27일 정상회의에 맞춰 발표될 예정이며, 3국 실무자가 초안을 바탕으로 막바지 협의를 진행 중이라고 요미우리는 전했다.

관련기사



다만 중국이 공동선언에서 한반도 비핵화, 북한 문제 관련 유엔 안보리 결의 이행을 언급하는 데 대해 반대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앞서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최근 브리핑에서 북러 무기 거래와 북한 비핵화 등이 논의될 가능성에 대해 "북한 비핵화나 남북 관계에 대해서는 한일중이 짧은 시간에 합의 결과를 내기 어려운 주제"라고 말했다.

한중일 정상은 이번 회의에서 인적 교류, 기후변화 대응 협력을 통한 지속 가능한 발전 도모, 경제 통상 협력, 보건·고령화 대응 협력, 과학기술 디지털 전환 협력, 재난·안전 협력 등 6가지 분야를 논의한다. 3국은 정상회의와 별도로 양자 회담을 통해 각종 현안을 협의할 예정이다.

아사히신문은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한일정상회담에서 미국을 포함한 한미일 연계 추진에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과 일본 간에는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일본 정부 명칭 '처리수') 해양 방류에 따른 중국의 일본산 수산물 수입 금지 문제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고 지적했다.


서일범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