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권대일 국립서울현충원장 "음악회·봉사…호국보훈, 젊은세대 공감이 중요"

백일장 등 선양 프로그램 운영

선열 희생·애국 정신 계승에 주력

국가유공자엔 항상 추모 마음 갖길

현충탑 도심이전 문제, 소통이 먼저





“호국 보훈의 달인 6월은 국가와 국민, 사회를 위해 희생·헌신한 유공자들에게 감사한 마음으로 추모하는 달입니다. 중요한 것은 이달뿐 아니라 항상 유공자들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갖고 생활해야 한다는 겁니다.”



권대일(사진) 국립서울현충원장은 21일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올해는 6·25전쟁이 발발한 지 74주년 되는 해인데 6·25전쟁은 결코 잊어서는 안 될 우리 민족사의 비극”이라며 “6월은 6·25전쟁이 발발한 시기이기 때문에 더 큰 의미를 가진다”며 이같이 말했다.

지난해 12월 제24대 서울현충원장으로 취임한 권 원장은 6월을 맞아 순국선열을 기념하는 행사가 많아 그 어느 때보다 바쁘게 활동하고 있다. 6월 들어 거의 매일 각종 행사와 사업 등에 참여하고 있는 가운데 특히 젊은 세대에 호국 보훈의 달의 의미를 알리는 데 주력한다.



그는 “미래를 짊어질 젊은 세대가 선열들의 희생과 호국 정신을 알 수 있도록 묘역 해설, 백일장, 음악회, 봉사 활동 등 다양한 선양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젊은 세대에 나라 사랑의 마음을 전하고 그들이 대한민국 국민임을 자랑스럽게 여기도록 더 많은 공감형 프로그램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1955년 ‘국군묘지’로 창설된 서울현충원은 외국 국빈 방한 시 방문하는 공식 행사 장소이기도 하다. 현재 전국에 12곳의 국립묘지가 있으며 이 가운데 서울현충원을 제외한 11곳은 국가보훈부가, 서울현충원은 국방부가 관리한다. 정부는 유공자 예우에 대한 통합 운영을 위해 7월부터 서울현충원의 관리 주체를 보훈부로 이관하기로 했다.

권 원장은 “서울현충원 창설 당시 안장자는 6·25전쟁 전사자 등 국방 관련자들이 대부분이었다”며 “그러나 지금은 베트남전쟁 전사자, 독립운동가, 순직 경찰관·소방관 등 국가와 사회를 위해 헌신한 여러 유공자도 안장돼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오늘날 우리나라가 누리는 번영과 자유·평화는 목숨을 바쳐 나라를 구한 순국선열과 호국 영령의 희생을 바탕으로 한 것”이라며 “국민들이 그 값지고 고귀한 나라 사랑 정신을 길이 간직할 수 있도록 예의와 정성을 다해 선열들을 모시고 묘지를 관리하는 게 서울현충원을 비롯한 전국 국립묘지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고 현충원 존재의 의미를 설명했다.

일반 시민들은 서울현충원의 주요 업무가 안장과 참배·추모, 선양 등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외에도 백일장 대회 등 다양한 행사도 진행한다. 그는 “호국 문예 백일장, 그림 그리기 대회, 음악회, 국방부 특별 군악·의장 행사 등 유가족과 국민이 함께할 수 있는 여러 행사를 연중 개최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서울현충원이 순국선열과 호국 영령을 추모하고 나라 사랑 정신을 계승 및 함양할 수 있는 공간으로 더욱 발전해나갈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매년 6월이 되면 서울현충원과 같은 국립묘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일부에서는 친일 활동가 중 국립묘지에 안장돼 있는 이들의 묘를 이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보훈부에 따르면 친일인명사전 등재 친일파 중 63명이 서울현충원과 대전현충원에 안장돼 있다.

이와 관련해 권 원장은 “국립묘지 안장은 국립묘지법에 따라 이뤄지는 만큼 친일파 묘지 이장 등은 서울현충원이 독자적으로 판단하고 추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면서 “이런 문제는 국민적 공감과 사회적 합의를 통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기를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미국 등 외국은 현충탑이 대부분 도심에 위치해 있지만 우리나라는 도시 외곽에 자리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보훈 단체들은 현충탑을 도심에 둬야 한다는 의견을 꾸준히 내고 있다. 이에 대해 권 원장은 “도심 외곽에 있는 현충탑은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의견이 있기는 한데 현충탑 도심 이전 문제는 지역 주민과 해당 지방자치단체 등 관계기관과 충분히 소통해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중요한 것은 현충탑이 국가와 지역사회의 문화유산인 만큼 역사·보전적 가치를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