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노후대비 10억 필요"…강남3구 재건축·美 빅테크株 최대 관심사 [머니트렌드 2024]

■참가 신청자 1000명 사전 설문…7월2일 개최

부동산 시장 상승 전망에 무게

재건축·서울 청약 등 투자 선호

AI 성장에 빅테크·반도체 주목

재테크 가장 큰 목적 '노후대비'

금투세 시행에는 51%가 "폐지"

박합수 건국대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가 지난해 7월 5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서울경제 머니트렌드 2023'에서 재건축 재개발 핵심지역에 대해 강연하고 있다. /서울경제DB박합수 건국대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가 지난해 7월 5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서울경제 머니트렌드 2023'에서 재건축 재개발 핵심지역에 대해 강연하고 있다. /서울경제DB






‘부동산은 강남 3구 재건축과 서울 소재 신축 아파트, 주식은 미국 빅테크와 삼성전자 등 반도체.’

서울경제신문이 7월 2일 열리는 ‘서울경제 머니트렌드 2024’ 행사에 참가 신청한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한 결과 일반 투자자들은 이 같은 자산에 가장 큰 관심을 두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자들은 부동산 시장의 상승에 무게를 두는 반면 국내 증시에는 다소 신중한 태도를 보이며 약보합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본지가 머니트렌드 2024 행사를 앞두고 참가 신청자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사전 설문 조사에서 응답자의 36.55%(최대 2개 선택)는 ‘서울 강남 3구 재건축 아파트’를 가장 유망한 부동산 투자 대상으로 보고 있다고 답했다. ‘서울 소재 청약·신축 아파트’가 24.97%로 뒤를 이었으며 ‘분당 등 1기 신도시 재건축 아파트’가 15.57%, ‘노원 등 서울 강북권 재건축 아파트’가 5.17%로 뒤를 이었다. 최근 부동산 시장이 서울 아파트를 중심으로 신고가를 기록하는 등 본격적인 상승세에 접어들자 서울 재건축과 청약·신축 아파트의 추가 상승세를 기대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관련기사





올해와 내년 부동산 시장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는 가장 많은 30.20%(최대 2개 선택)가 ‘서울 등 대도시 중심 공급 물량 부족’을 꼽았다. 최근 주택산업연구원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문제와 공사비 증가 등의 여파로 올해 인허가 물량이 2017~2021년 연간 평균치인 54만 가구 대비 30%나 줄어든 38만 가구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본 바 있다. 이어 ‘금리 인하’가 27.70%, ‘신축 아파트 등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 증가’가 17.09%, ‘인플레이션 및 공사비 인상’이 15.13% 등의 응답이 뒤를 이었다. ‘상승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5.12%에 그쳤다.

주식 등 위험 자산에 있어서는 ‘미국 빅테크주’를 최선호 투자 대상으로 지목한 이들이 38.98%(최대 2개 선택)로 가장 많았다. ‘삼성전자 등 반도체 주식’이 17.69%로 뒤를 이었으며 ‘암호화폐 등 코인(14.95%)’ ‘2차전지주(9.93%)’ ‘원자재 관련 상품(6.91%)’ ‘은행·리츠 등 가치주 영역 주식(4.69%)’ 등의 순이었다. 올 들어 인공지능(AI) 산업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엔비디아를 필두로 한 ‘매그니피센트7(M7)’ 등 미국 빅테크주의 주가가 급등한 가운데 이들의 추가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여전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동시에 삼성전자 등 반도체 주식을 선택한 이들이 많은 것도 AI 산업의 성장이 이들의 주가를 끌어올릴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일반 투자자들은 연말 코스피지수가 2700~2800 선을 유지하는 등 국내 증시가 약보합 혹은 하락세를 보이지만, 반도체 주식 등은 상승하는 개별 종목 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본 셈이다.

재테크의 목표(최대 2개 선택)로는 ‘노후 대비’가 47.20%로 절반 가까이 차지했다. 이어 ‘이른 은퇴(16.88%)’와 ‘주택 구입 자금 마련(14.08%)’ ‘자녀 증여(9.24%)’ 등의 순이었다. ‘실거주할 주택을 제외하고 노후 대비를 위해 필요한 자금’을 묻는 질문에는 ‘10억 원’을 선택한 이들이 30.3%로 가장 많았으며 ‘20억 원(23.70%)’ ‘30억 원(17.80%)’ ‘50억 원(12.10%)’ 등이 뒤를 이었다.

현재 정치권에서 논의되고 있는 종합부동산세 개편에 대해서는 ‘주택 수와 무관하게 종부세 폐지 후 재산세와 통합해 보유세 일원화’를 선택한 이들과 ‘주택 가격과 무관하게 1주택자 종부세 폐지’를 선택한 이들이 각각 33.30%와 31.10%로 가장 많았다. 금융투자소득세의 내년 시행에 대해서는 ‘폐지가 적절하다’는 응답이 51.50%로 절반을 넘었다. 또 ‘1~2년 더 유예해 제도 정비 후 시행해야 한다’가 35.50%를 차지했다.


김연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