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기자의 눈] ‘상생’ 외치는 무료배달의 함정

김남명 생활산업부 기자


“무료 배달로 소상공인 매출이 늘었다고요? 저와 주변 가게들 매출은 30% 가까이 떨어졌습니다.”

인천에서 치킨집을 운영하는 강 모(60) 씨는 최근 기자와의 통화에서 이같이 말하며 분통을 터트렸다. 무료 배달 효과로 배달 주문 건수가 소폭 늘어나긴 했지만 소비자들이 배달비 부담 없이 소액 주문을 하는 일이 늘면서 평균 주문 금액은 전보다 줄었다는 것이다. 강 씨는 “예전엔 3만 원짜리 치킨 주문이 주로 들어왔다면 이제는 1만 원짜리 닭강정 주문이 대부분”이라면서 “무료 배달 이후 달랑 콜라 하나만 가져다 달라는 주문이 들어온 적도 있다”고 토로했다.



배달 앱 업체들은 소비자 대상 무료 배달을 통한 소상공인 매출 견인 등 상생을 강조하고 있지만 실상은 다르다는 설명이다. 최소 주문 금액만 겨우 넘긴 소액 주문이 늘어난 상황에서 자영업자들은 배달 플랫폼에 각종 중개 수수료와 배달비 명목으로 음식 값의 최대 30%에 달하는 비용을 지급하고 나면 남는 것이 거의 없다고 호소한다. 상생은커녕 배달 앱에 내는 수수료 부담이 과도해 오히려 수입이 줄었다는 주장이다.

관련기사



문제는 소상공인의 수익성 악화가 외식물가 상승으로 이어지면서 소비자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매출이 감소하는 상황에서 배달 앱 플랫폼에 지불해야 하는 수수료 부담을 메우기 위해 외식 업주들이 배달 음식 값을 올려 받는 선택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미 일부 업주들은 배달 앱 플랫폼마다 음식 값을 각각 다르게 책정해 올리고 있다. 정률제 수수료율이 9.8%인 쿠팡이츠에는 음식 값을 1000~2000원 더 높게 등록하고 상대적으로 수수료율이 낮은 배달의민족(6.8%)에는 원래 가격대로 등록하는 식이다. 이런 사실이 적발되면 배달 앱에서 제재를 하지만 업주들은 수익성 확보를 위해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

정부가 3일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고 영세 소상공인 배달비 지원 방안을 검토한 뒤 하반기 중에 상생 방안을 내놓겠다고 밝혔지만 자영업자들이 원하는 건 정부 지원이 아니라 배달 앱의 정률제 수수료율 인하 등 본질적인 수익 구조 개선이다. 배달 앱 업계도 정부의 상생 방안 마련에 적극 협조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배달 플랫폼 업계와 자영업자들이 상생할 수 있는 실질적인 대책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김남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